젊은 교사 가입 등 대중적 노조 고민해야
교권 회복하되 학생 학습권 보호 우선을‘탈경쟁=학력 저하’ 편견 깰 교육연대 필요
“교원 노조 합법화로 한국 민주주의를 발전시킨 것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의 가장 큰 성과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현장 교사들 사이에서 전교조라 하면 쉽게 다가가기 어렵게 여기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자 한계죠.”(김용서 교사노동조합연맹 사무총장)
28일 결성 30주년을 맞는 전교조는 변화의 한가운데 서 있다. 2013년 박근혜 정부 당시 내려진 법외노조 통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정부 투쟁 강화에 나섰지만 내부적으로는 줄어드는 조합원수와 20대 젊은 교사들의 외면에 직면해 있다. 한때 전교조에 몸담았거나 전교조와 뜻을 함께하는 단체들은 전교조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면서도 지금이 전교조가 혁신에 나서야 하는 시기라고 입을 모았다.
김용서 교사노조연맹 사무총장은 “전교조는 1989년 결성 이후 정권의 갖은 탄압에 굴하지 않고 10년간 투쟁을 통해 교원 노조의 합법화를 이뤘다”면서 “이후 조직이 커졌지만 전국 단일노조 형태의 구조로 인해 보다 대중적인 노조로 확대 발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교사노조연맹은 전교조의 중앙집권적 시스템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2017년 12월 설립한 지방분권 형태의 노조다.
김 사무총장은 “교사노조연맹 조합원 90%는 20~30대 젊은 교사들”이라면서 “전교조가 최초 설립 이념처럼 우리 교육의 혁신을 이루려면 왜 젊은 교사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는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권정오 전교조 위원장은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전교조가 20대 교사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지적에 공감했다. 그는 “조직이 비대해지면서 조합원들과의 직접 소통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고 젊은 교사들에게 매력적인 가입 동기를 제공하지 못한 측면도 있다”면서 “젊은 교사들에게 일상에서 노조가 필요한 이유와 전교조가 바꿔 온 교육 성과들을 알리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승의날’ 폐지론까지 나올 정도로 무너진 교권을 회복하는 것도 전교조의 과제다. 전교조는 본부와 지부에 ‘교권 상담 센터’를 세우는 등 구체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전교조가 학생 인권 신장의 주춧돌을 놓았던 초심을 잃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나명주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회장은 “교권 붕괴의 원인을 학생과 학부모로 돌려선 안 된다. 학생의 학습권 보호는 언제나 최우선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탈(脫)경쟁’을 추구하는 혁신교육의 노력이 기초학력 저하와 같은 우려와 편견에 가로막히는 현실도 극복해야 한다. 전교조는 30주년을 맞아 ‘숨·쉼·삶’이라는 의제를 제시했다. 학생들이 건강하게 숨쉬고 경쟁에서 벗어나 쉼을 누릴 수 있는, 삶을 위한 교육을 실현하겠다는 의미다. 이 같은 교육 혁신이 낭만적 구호에 그치지 않기 위해 교육단체 간 연대를 주문하는 목소리도 높다. 김영식 좋은교사운동 공동대표는 “혁신교육에 대해 부여되는 잘못된 프레임을 극복하고 혁신교육의 가치를 제대로 알리는 데에 교원단체들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면서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의 일관성 있는 체제와 학생의 성장을 사회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평가 등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05-28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