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우리의 적’이라고 생각하는 초·중·고등학교 학생이 5%에 그쳤다. 남북 정상회담이 두 차례 열린 1년 사이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개선된 것이다.
교육부와 통일부가 지난해 10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전국 초중고 597개교의 학생 8만 29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2일 발표한 ‘2018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대상’이라고 답한 학생이 2017년 41%에서 지난해 5.2%로 36% 포인트 가까이 줄었다. 대신 응답자의 28.2%는 ‘경계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새로 생긴 보기를 택했으며, ‘협력해야 하는 대상’(41.3%에서 50.9%로)과 ‘우리가 도와줘야 하는 대상’(10.8%에서 12.1%로)이라는 답을 택한 학생도 소폭 증가했다.
‘북한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느냐’는 질문에 2017년에는 가장 많은 학생(49.3%)이 ‘독재·인물’을 꼽았으나 지난해에는 26.7%에 그쳤다. 대신 ‘한민족·통일’을 꼽은 학생은 2017년 8.6%에서 24.9%로 큰 폭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가장 많은 학생(29.7%)이 ‘전쟁·군사’를 꼽는 등 북한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이 혼재하고 있는 점도 확인됐다.
조사에 참여한 학생의 63.0%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운데 ‘6~10년 이내’에 통일이 될 것이라고 내다본 학생이 31.3%로 가장 많았다. ‘5년 이내’에 통일이 될 것 같다는 응답도 2017년 5.1%에서 2018년 16.4%로 늘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교육부와 통일부가 지난해 10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전국 초중고 597개교의 학생 8만 29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2일 발표한 ‘2018년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대상’이라고 답한 학생이 2017년 41%에서 지난해 5.2%로 36% 포인트 가까이 줄었다. 대신 응답자의 28.2%는 ‘경계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새로 생긴 보기를 택했으며, ‘협력해야 하는 대상’(41.3%에서 50.9%로)과 ‘우리가 도와줘야 하는 대상’(10.8%에서 12.1%로)이라는 답을 택한 학생도 소폭 증가했다.
‘북한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느냐’는 질문에 2017년에는 가장 많은 학생(49.3%)이 ‘독재·인물’을 꼽았으나 지난해에는 26.7%에 그쳤다. 대신 ‘한민족·통일’을 꼽은 학생은 2017년 8.6%에서 24.9%로 큰 폭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가장 많은 학생(29.7%)이 ‘전쟁·군사’를 꼽는 등 북한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이 혼재하고 있는 점도 확인됐다.
조사에 참여한 학생의 63.0%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운데 ‘6~10년 이내’에 통일이 될 것이라고 내다본 학생이 31.3%로 가장 많았다. ‘5년 이내’에 통일이 될 것 같다는 응답도 2017년 5.1%에서 2018년 16.4%로 늘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9-02-13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