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 사업 추진 배경·전망
교육부가 29일 프라임 사업 세부 시행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내년 3월을 기한으로 대학들의 학과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게 됐다. 상대적으로 취업에 불리한 인문·사회계열 학과들이 구조조정의 타깃이 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대학이 프라임 사업에 참여하려면 기존 학과를 폐지하거나 정원을 줄여 산업 수요 중심의 학과로 이동해야 한다. 교육부가 3년 동안 지원하는 6000억원은 학내 반발을 줄이는 일종의 ‘당근’으로 볼 수 있다. 당초 사업설계 당시 선정대학을 36곳으로 잡았다가 19곳으로 줄이면서 개별 대학에 대한 지원 금액을 늘린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서울의 한 대학 기획처장은 “지원금의 규모가 워낙 커 대학으로선 적극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대학이 구조조정에 나서면 인문학을 비롯한 기초학문이 고사할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조승래 청주대 사학과 교수는 “단지 취업이 안 된다는 이유로 구조조정을 진행하면 인문·사회계열이 직격탄을 맞게 되고, 이에 따라 다른 나라에 비해 취약한 한국의 기초학문이 더 취약해질 가능성이 크다”며 “미국·영국처럼 기초학문 육성을 위한 기관을 설치하고, 이와 별도로 산업 수요에 맞춘 인력 양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내년 3월 말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하고 심사를 거쳐 4월 말 선정 대학을 발표할 계획이다. 대학들이 프라임 사업에 대한 본격 준비에 나서는 내년 초부터 대학가에 크고 작은 잡음이 예상된다. 예컨대 중앙대는 인문대와 사회대 정원 100명을 감축해 공대로 넘길 것이라고 알려져 학내 갈등이 일고 있다. 앞서 인하대에서도 프라임 사업을 위해 철학과와 프랑스언어문화학과를 폐지하고 영어영문학과·일본언어문화학과의 정원을 대폭 줄이겠다고 했다가 학내 반발에 개편 방안을 철회하기도 했다.
교육부는 이런 논란에 대해 ‘완충장치’를 마련했기 때문에 별 문제가 안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사업 참여 대학은 축소·폐지되는 학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을 보장하고 교육과정도 유지해야 한다는 부분 등이다. 또 교원 신분에 대한 보장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선정 대학은 정부 지원 금액의 10% 이상을 반드시 인문학 발전에 쓰도록 하는 것이 의무화돼 있다”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2-30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