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으로 공부하러 가는 초·중·고 유학생의 숫자가 8년 새 절반으로 줄었다. 대학 유학생도 2011년 이후 점차 줄어 4년 새 5분의1 정도가 감소했다. 외국 유학생 출신에 대한 국내 선호도가 떨어진 가운데 경기 침체로 해외에 나가는 것을 꺼리게 되고, 외국에서의 영어 공부도 예전에 비해 희소성이 떨어진 점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17일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2014학년도에 유학을 목적으로 출국한 학생은 초등학생 4455명, 중학생 3729명, 고등학생 2723명 등 1만 90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1만 2374명에 비해 12% 줄어든 것이다. 조기 유학생 수가 정점을 찍었던 2006학년도와 비교하면 8년 새 약 3분의1 수준으로 급감한 셈이다. 2006학년도 유학생 수는 초등학생 1만 3814명, 중학생 9246명, 고등학생 6451명 등 2만 9511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최고를 기록했다. 학생 1만명당 유학생 수도 2006학년도에는 35.2명이었으나 2014학년도에는 절반도 안 되는 16.3명으로 줄었다.
김성봉 EDM 유학센터 이사는 “한국에서도 영어 공부를 충분히 할 수 있게 되면서 영어 공부를 위해 외국으로 나가는 유학 형태가 점차 줄어들고, 반대로 선진국의 수준 높은 교육환경을 따라 나가는 유학 형태는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김 이사는 “한국의 치열한 입시 경쟁을 피하기 위해 가족이 함께 외국으로 가는 현상도 점차 뚜렷해진다”며 “아빠는 한국에 있고 엄마와 자녀가 외국에 나가 공부하는 이른바 ‘기러기 아빠’보다 가족 전체가 공부하러 나가는 ‘기러기 가족’ 형태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생 유학도 급감하는 추세다. 교육부가 최근 발표한 2015년 국외 한국인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2011년 26만 2465명으로 정점에 이르렀던 대학생 유학생 숫자는 올해 21만 4696명으로 지난 4년 동안 18%(4만 7769명) 정도가 줄었다.
조남욱 서울과기대 국제교류본부장은 “대기업이 대학을 찾아다니며 이른바 ‘유학파’를 직접 와서 찾아가곤 했던 것과 달리, 최근엔 기업들이 한국의 주요 대학을 나온 학생들을 선호하는 현상이 강하다”고 말했다. 미국으로 가는 유학생은 줄고 대신 유럽 등의 지역으로 향하는 현상도 뚜렷해지고 있다. 조 본부장은 이와 관련, “최근 유럽의 대학들이 영어로 공부하고 장학금도 많이 주면서 적극적으로 유학생 유치에 나서고 있어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못한 대학생들의 유럽행이 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초·중·고뿐 아니라 대학 유학생 숫자는 결과적으로 경기 불황과 함께 영어 교육에 대한 희소성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의견이 많다. 김경근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는 이런 현상들에 대해 “조기 유학생 숫자가 줄어드는 것은 그동안 비정상이었던 것이 정상화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김성봉 EDM 유학센터 이사는 “한국에서도 영어 공부를 충분히 할 수 있게 되면서 영어 공부를 위해 외국으로 나가는 유학 형태가 점차 줄어들고, 반대로 선진국의 수준 높은 교육환경을 따라 나가는 유학 형태는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라고 말했다. 김 이사는 “한국의 치열한 입시 경쟁을 피하기 위해 가족이 함께 외국으로 가는 현상도 점차 뚜렷해진다”며 “아빠는 한국에 있고 엄마와 자녀가 외국에 나가 공부하는 이른바 ‘기러기 아빠’보다 가족 전체가 공부하러 나가는 ‘기러기 가족’ 형태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생 유학도 급감하는 추세다. 교육부가 최근 발표한 2015년 국외 한국인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2011년 26만 2465명으로 정점에 이르렀던 대학생 유학생 숫자는 올해 21만 4696명으로 지난 4년 동안 18%(4만 7769명) 정도가 줄었다.
조남욱 서울과기대 국제교류본부장은 “대기업이 대학을 찾아다니며 이른바 ‘유학파’를 직접 와서 찾아가곤 했던 것과 달리, 최근엔 기업들이 한국의 주요 대학을 나온 학생들을 선호하는 현상이 강하다”고 말했다. 미국으로 가는 유학생은 줄고 대신 유럽 등의 지역으로 향하는 현상도 뚜렷해지고 있다. 조 본부장은 이와 관련, “최근 유럽의 대학들이 영어로 공부하고 장학금도 많이 주면서 적극적으로 유학생 유치에 나서고 있어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못한 대학생들의 유럽행이 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초·중·고뿐 아니라 대학 유학생 숫자는 결과적으로 경기 불황과 함께 영어 교육에 대한 희소성이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의견이 많다. 김경근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는 이런 현상들에 대해 “조기 유학생 숫자가 줄어드는 것은 그동안 비정상이었던 것이 정상화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11-18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