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킨스, 윌슨의 ‘지구를 점령한 사회성’ 신랄히 비판
2007년 가을, 영국 옥스퍼드대의 문학 페스티벌 행사장. 리처드 도킨스 옥스퍼드대 뉴칼리지 교수가 먼저 공격을 시작했다. “종교는 확실한 증거 위에 있지 않다. 과학으로 입증된 사실을 보면 신은 없다.” 마주 앉은 사람은 옥스퍼드 신학대학장인 앨리스터 맥그래스 위클리프홀 교수. 그는 지지 않고 반박을 시작했다. “종교는 이성과 증거를 무시하지 않는다. 맹목적인 무신론은 맹목적인 종교만큼 위험하고 악하다.” 무신론과 유신론 또는 진화론과 창조론의 전쟁으로 일컬어지는 과학과 신학의 대결. 이 대담은 ‘논쟁’이라는 이름으로 ‘유튜브’에 올라 전세계적인 화제가 됐다. 애당초 평행선을 긋는 두 주제인 만큼 어느 쪽이 이겼다고 단언할 수는 없었다. 다만 유신론을 믿는 사람들은 맥그래스에, 무신론을 믿는 사람은 도킨스에 열광했다. 그후 5년이 지났고, 도킨스가 또 다른 전쟁을 시작했다. 그런데 상대가 창조론자도 신학자도 아닌 진화론자인 에드워드 윌슨 하버드대 교수다. 뭔가 상대가 잘못된 것이 아닐까. 진화론과 진화론의 싸움이다. 사건의 발단은 지난달 영국의 정치전문 ‘프로스펙트 매거진’에 도킨스가 기고한 서평이었다.윌슨의 새 저서 ‘지구를 점령한 사회성’을 두고 도킨스는 “인간 진화와 곤충의 사회성에 대한 내용을 담은 윌슨의 책은 전혀 재미가 없다.”면서 “이러한 두 가지 사회적 진화를 비교하는 책을 쓴다는 것은 좋은 생각이지만, 오류투성이로 완전히 비뚤어진 오해의 진화론을 여러 쪽 읽고 고맙게 여기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그저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신랄하게 비꼬았다. ‘싸움닭’으로 유명한 도킨스는 여기에서 멈추지 않았다. 앨런 그래펀, 데이비드 퀼러, 존 투비, 스튜어드 웨스트 등 20여명에 이르는 진화학자들의 이름을 일일이 거론하며 “이들은 윌슨이 아닌 나의 견해에 동의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다윈이 ‘종의 기원’을 출간한 이후 생물학은 물론 사회를 움직이는 가장 유력한 진리로 여겨지는 진화론(또는 진화학) 분야에서 도킨스와 윌슨은 최소한 ‘살아 있는 사람 중 가장 뛰어난 유이한 존재’다. 71살인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 ‘눈먼 시계공’ ‘만들어진 신’ 등을 통해 진화론과 무신론을 대중화하는 데 선두에 있다. 생태학자로 개미 연구의 독보적 학자인 83살의 윌슨은 1970년대 초 ‘곤충사회’와 ‘사회생물학’을 펴내면서 진화론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으며, 학문 간 융합과 생물학적 환원주의를 주장하는 ‘통섭’을 통해 한국 사회에도 커다란 파문을 던졌다.
생물학자들은 두 거장의 지상 설전이 낯설지 않다. 같은 진화학자지만 두 사람의 사고방식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도킨스는 ‘종교는 악(惡)’이라고 단언한다. ‘눈먼 시계공’에서 그는 “자연선택의 결과로 태어난 오늘날의 생명체들은 마치 숙련된 시계공이 설계하고 수리한 결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앞을 보지 못하는 시계공이 나름대로 고쳐 보려 애쓰는 과정에서 번번이 실패를 거듭하다 아주 가끔 요행처럼 재깍거리며 작동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진화조차도 신이라는 설계자에 의해 정밀하게 계획된 것이라는 창조론의 반격을 무참히 깔아뭉갠다. 반면 윌슨은 ‘종교와 공생할 수 있다.’는 쪽에 가깝다. “종교와 과학은 충돌할 수밖에 없지만 공동의 목표를 위해서는 서로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킨스는 윌슨을 “기독교를 대하는 외교관”이라고 말하는 반면, 윌슨은 도킨스를 “기독교에 맞서는 전사”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두 사람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이 진화를 주도하는가.’에 대한 오래된 질문에 대한 해석이다. ‘자연선택’을 믿었던 다윈은 진화를 생물이 변이를 일으키면서 다른 개체들에 비해 생존과 번식에 더 유리해져 다음 세대에 더 많은 자손을 남기게 되는 과정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다윈의 후예들은 “그렇다면 자연이 선택하는 대상은 개체인가, 종족인가.”라는 질문에 도달했다. 여기에서 도킨스와 윌슨이 갈라진다. 분자생물학자인 도킨스는 절대적으로 ‘유전자’의 힘을 앞세운다. 이타적으로 보이는 동물의 협동 행동들조차 유전자 속에서 들여다보면 자신이 살아남기 위한 이기적인 포석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의 이론에서는 생물의 개체와 집단은 물론 인간조차도 결국 ‘유전자의 운반자’에 불과하다. 유전자 이외의 것에는 관심이 없고 모든 것은 유전자의 변이와 진화로 설명한다. 반면 동물행동을 연구해온 윌슨은 집단의 가치를 중시하고 인간의 사회행동과 문화도 동물의 본성으로 풀어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윌슨은 도킨스와 달리 유전자 이외에 생물학적, 사회적, 환경적 우선순위가 진화의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두 거장이 벌이는 싸움은 진화론이 ‘젊은 학문’이라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인류 역사에서 진화론은 등장한 지 고작 150년에 불과하다. ‘생물은 진화한다’는 것 이외에 어느 누구도 진화의 성격이나 방향, 원리를 100%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심지어 두 거장의 싸움을 비웃는 진화학자들도 많다. 조지 코엔지스 영국 워위크 대학 교수는 일간 가디언에 “도킨스와 윌슨 모두 틀렸다.”고 단언했다. 그는 “두 사람은 자신의 생각대로 진화를 지나치게 단순화시키고 있다.”면서 “두 사람의 이론에서는 두 다리를 걷는 데 완벽한 유전자 세트를 가진 사람이 절벽에서 뛰어내리기 때문에 일찍 죽거나 남성의 유두처럼 아무런 이유도 없이 생명 활동에서 살아남은 존재들을 설명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2-07-1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