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오후 제주 구좌읍 김녕리 해안도로 인근 갯바위에서 갈매기들이 강한 바람을 피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제주 뉴시스
29일 기상청은 고해상도 해양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토대로 근미래(2021~2040년)와 중미래(2041~2060년)의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와 표층 염분 전망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산업 발전에 중점을 두고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 위주로 무분별한 개발을 계속하는 ‘고탄소 시나리오’에선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6개 해역 평균)가 2021~2040년에 18.81도, 2041~2060년에는 19.90도로 높아진다. 현재 기준으로 1.11도, 2.20도 오르는 것이다.
다만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달해 화석연료 사용이 최소화되는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2021~2040년은 18.75도, 2041~2060년에는 19.14도로 증가했지만, 상승 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저탄소 시나리오(왼쪽)과 고탄소 시나리오(오른쪽)에서 중미래(2041~2060년)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 상승 폭 전망치. 기상청 제공
표층 염분 감소는 수온과 염분에 따른 밀도 차로 해수층이 구분되는 현상인 해양 성층이 강화돼 해수면 온도의 상승을 부추긴다.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 그 위를 지나는 태풍의 세력이 강해진다. 뜨거운 바다에서 더 많은 열과 수증기가 태풍으로 공급돼서다.
결국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염분 감소와 해수면 온도 상승은 한반도에 더 강한 태풍이 더 자주 영향을 끼치게 된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해수면 온도 상승은 해양 위험 기상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육상 기후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해양 기후변화 감시·예측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