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뒤 해수면 온도 2.2도↑…‘강한 태풍’ 자주 온다

20년 뒤 해수면 온도 2.2도↑…‘강한 태풍’ 자주 온다

강동용 기자
강동용 기자
입력 2023-11-29 14:05
수정 2023-11-29 14: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6일 오후 제주 구좌읍 김녕리 해안도로 인근 갯바위에서 갈매기들이 강한 바람을 피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제주 뉴시스
지난 6일 오후 제주 구좌읍 김녕리 해안도로 인근 갯바위에서 갈매기들이 강한 바람을 피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제주 뉴시스
탄소 배출과 무분별한 개발이 지속되면 20년 뒤에는 우리나라 주변 바다의 해수면 온도가 최대 2.2도 상승해 태풍이 빈번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9일 기상청은 고해상도 해양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토대로 근미래(2021~2040년)와 중미래(2041~2060년)의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와 표층 염분 전망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산업 발전에 중점을 두고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 위주로 무분별한 개발을 계속하는 ‘고탄소 시나리오’에선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6개 해역 평균)가 2021~2040년에 18.81도, 2041~2060년에는 19.90도로 높아진다. 현재 기준으로 1.11도, 2.20도 오르는 것이다.

다만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달해 화석연료 사용이 최소화되는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2021~2040년은 18.75도, 2041~2060년에는 19.14도로 증가했지만, 상승 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미지 확대
저탄소 시나리오(왼쪽)과 고탄소 시나리오(오른쪽)에서 중미래(2041~2060년)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 상승 폭 전망치. 기상청 제공
저탄소 시나리오(왼쪽)과 고탄소 시나리오(오른쪽)에서 중미래(2041~2060년)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 해수면 온도 상승 폭 전망치. 기상청 제공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염분은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2021~2040년 32.96psu, 2041~2060년에는 32.93psu로 각각 0.14psu와 0.17psu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psu는 전기 전도도로 측정하는 실용 염분 단위다. 예컨대 33psu면 바닷물 1㎏당 염분이 33g 녹아있다는 의미다. 표층 염분이 감소하는 것은 바닷물이 싱거워진다는 얘기다.

표층 염분 감소는 수온과 염분에 따른 밀도 차로 해수층이 구분되는 현상인 해양 성층이 강화돼 해수면 온도의 상승을 부추긴다.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 그 위를 지나는 태풍의 세력이 강해진다. 뜨거운 바다에서 더 많은 열과 수증기가 태풍으로 공급돼서다.

결국 한반도 주변 해역 표층 염분 감소와 해수면 온도 상승은 한반도에 더 강한 태풍이 더 자주 영향을 끼치게 된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해수면 온도 상승은 해양 위험 기상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육상 기후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해양 기후변화 감시·예측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