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지역 과학기술 생태계 확대 나선다…‘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 선정

전북대, 지역 과학기술 생태계 확대 나선다…‘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 선정

설정욱 기자
설정욱 기자
입력 2023-08-29 09:51
수정 2023-08-29 12: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전북대학교 전경.
전북대학교 전경.
전북대학교가 지속가능한 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을 통해 인력양성과 신기술 육성, 기술이전 및 혁신창업 지원 등 지역 과학기술 선순환 생태계 활성화를 추진한다.

전북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과기부는 출연연구소 본원과 지역대학 공동 주관의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지난 3~6월까지 권역별 2곳씩, 총 8개 플랫폼을 사전 선정했다.

전북대는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본원, 그리고 KIST 전북분원과 플랫폼을 구성해 호남·제주권 대학 가운데 유일하게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전북대는 총연구비의 40%인 45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전북대는 출연 연구소뿐 아니라 지자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중점 육성산업인 나노탄소 기반 에너지 소재 분야 전문인력 양성에도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사업 기간 내 이 사업과 연계된 ‘전라북도 지역 산·학·연 융합연구 사업’을 통해 12억 5000만원의 전라북도 대응투자도 확정됐다.

사업 종료 후 협업 플랫폼 확대 운영과 인력양성 등의 성과 확산을 위해 2028년까지 5년간 매년 KIST 20억원, 전북대 10억원, 지방비 4억 2500만원 등이 투입될 예정이어서 지속가능성도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이승희 교수(공대 고분자나노공학과)는 “전북지역 내 탄소복합소재 및 2차전지 관련기업 수요기반 실무 중심형 교육을 통해 융·복합 인프라 등을 활용한 우수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