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왜 안해요?’…청년들 “돈 없고 필요성 못 느껴서요”

‘결혼 왜 안해요?’…청년들 “돈 없고 필요성 못 느껴서요”

윤예림, 신진호 기자
입력 2023-08-28 15:44
업데이트 2023-08-28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인식변화’ 보고서
결혼 긍정적인 청년, 10년 전보다 20%P ↓
결혼자금 부족 33.7%…17.3% 필요 못 느껴
24.1% ‘이유 있다면 이혼할 수 있다’
비혼 출산 동의하는 청년, 10년 전보다 9.8%P ↑

이미지 확대
결혼 자료 이미지. 서울신문 DB
결혼 자료 이미지.
서울신문 DB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의 비율이 10년 전보다 20% 포인트 넘게 줄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은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 등을 꼽았다.

28일 통계청은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인식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결혼·출산 등 이슈와 관련한 최근 10년간 가치관의 변화를 추적했다.

“이유 있다면 이혼할 수 있다”
청년층의 이혼·동거에 관한 생각은 과거보다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이유가 있다면 이혼도 할 수 있다”고 답한 비중이 2012년 13.1%에서 지난해 24.1%로 늘었다. 반면 “이유가 있더라도 이혼만큼은 안 된다”고 답한 비중은 같은 기간 38.5%에서 14.9%로 줄었다.

재혼에 관한 생각도 자유로워졌다. “재혼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고 답한 비중은 같은 기간 67.5%에서 76.3%로 꾸준히 늘었다. 반면 “재혼해야 한다”라거나 “재혼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중은 같은 기간 18.5%에서 4.7%로 줄었다.

‘결혼 긍정’ 비율은 10년 전보다 20.1%↓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은 지난해 5월 기준 36.4%로 10년 전보다 20.1% 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전체 인구 중 결혼에 긍정적인 인구 비율(50.0%)보다 13.6% 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여자 28.0%, 남자 43.8%로 10년 전보다 각각 18.9% 포인트, 22.3% 포인트 낮아졌다. 연령별로는 19~24세 34.0%, 25~29세 36.1%, 30~34세 39.2% 등이다.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사람들이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33.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결혼 필요성을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못 만남(9.7%) 등의 순이었다. 결혼자금 부족을 이유로 꼽은 이들의 비중은 여성(26.4%)보다 남성(40.9%)에서 더 높았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중은 80.9%로, 10년 전보다 19.1% 포인트 높아졌다.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청년의 비율은 2018년 46.4%, 2020년 50.5%, 지난해 53.5% 등으로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비혼 출산’ 동의 9.8%P↑
자신과 부모와의 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청년과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만족한다고 한 청년은 ‘결혼 후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각각 57.6%, 57.1%로 전체 청년 집단(46.5%)보다 높았다. 이유가 있으면 결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4.1%로 10년 전보다 11% 포인트 상승했다.

비혼 출산에 동의하는 청년 비중은 10년 전보다 9.8% 포인트 올라 지난해 39.6%를 기록했다. 반면 입양 의사가 있는 청년 비중은 31.5%로 같은 기간 20.5% 포인트 감소했다. 입양하고 싶지 않은 이유는 ‘입양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43.1%), ‘친자녀처럼 양육할 수 있을지 걱정돼서’(37.6%) 등이었다.
윤예림 인턴기자·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