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굴식물 생육부진에 고라니 피해로 그늘 형성 안돼
불볕더위 피할 공간 부족한데 햇볕 들어 기능도 부실
화분에 심은 등나무, 머루 등 터널 지붕 덮지 못해
폭염 대책 작동 안돼 온열질환자 발생 단초 제공 지적
“새만금 잼버리 현장에서 유일한 그늘인 덩굴터널이 좀 더 시원하고 길었더라면 온열질환자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됐을 것입니다”새만금 잼버리 현장에 설치된 부실한 덩굴터널이 행사 파행의 단초가 된 온열질환을 막지 못한 원인이 됐다는 지적이다. 덩굴터널은 전북도가 새만금 스카우트잼버리에 참가한 대원들이 불볕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설치한 그늘로 사실상 유일한 폭염 대책 시설이다.
15일 전북도에 따르면 새만금 잼버리 영지 등에 7.4㎞의 덩굴터널을 설치했다. 애초 3.7㎞를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폭염이 심할 것으로 예상돼 배로 늘렸다.
새만금 잼버리 유일한 폭염 대책인 덩굴터널 그늘을 형성하는 식물들의 생육이 부진해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그러나 대형 화분에 심어 기른 덩굴식물의 생육 부진으로 터널을 완전하게 덮지 못해 햇볕 차단 효과를 거두는데 한계를 드러냈다.
전북도는 터널에 그늘을 만드는 식물로 칡 1만 5000여개, 등나무와 머루 8000여개 등 2만 3000여개의 대형 화분을 설치했다. 사업비 7억 9500만원이 투입됐다. 하지만 5년 정도 키워야 무성한 그늘을 형성하는 식물들을 겨우 2년 정도만 키운 뒤 터널 옆에 배치, 시원한 그늘을 만드는데 실패했다.
특히, 터널이 올 봄에야 설치돼 덩굴식물이 타고 올라갈 수 있는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했다. 올해는 유난히 비가 많이 내리고 폭염이 심해 생육도 부진했다. 대부분의 덩굴식물은 벽 부분만 일부 가리고 천정 부분까지 자라지 못해 그늘이 형성되지 않았다.
더구나 화분에서 자란 덩굴식물을 밤이면 고라니들이 나타나 모두 뜯어먹어 생장을 방해했다. 새순이 늦게 돋아나는 칡은 유해동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었지만 등나무와 머루는 고라니의 공격 대상이 돼 생육이 형편 없었다. 일부는 말라죽기도 했다.
급기야 덩굴식물로 햇볕을 가릴 수 없다고 판단한 전북도는 부랴부랴 연두색 차광막을 설치했지만 애초의 목적은 달성하지 못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직원들이 화분에 심은 덩굴식물이 잘 자라도록 현장에 머물며 온갖 정성을 다했으나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했고 터널도 늦게 설치돼 그늘을 만드는데 부족함이 많았다”고 시인했다.
새만금 잼버리에 참석했던 스카우트 대원들도 “덩굴터널이 없는 것보다는 훨씬 나았지만 영지에서 멀고 길이도 짧았으며 그늘도 진하지 않아 더위를 식히기에는 역부족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전북도는 덩굴터널 화분 가운데 초화류를 심은 7000개는 폐기하고 목본류 등은 이서 묘포장으로 옮겨 관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