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북 인구 3054명 감소, 도시지역 인구 유출이 주원인
반면 군 단위 농촌지역은 1163명 증가하며 인구 역주행
재난·전입지원금 지급과 각종 귀농귀촌 정책이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과 함께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평가 엇갈려
산부인과 신생아실.
서울신문DB
서울신문DB
27일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보면 올해 전북지역 인구는 3054명 감소했다. 반면 군단위 농촌은 1163명이 늘었다. 매년 1500여명씩 인구가 감소하며 8만명대까지 추락한 김제시도 지난해부터 반등한 분위기다.
이같은 농촌지역 인구 증가는 대규모 아파트 분양과 다양한 인구 정책들이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완주군은 전주시와 인접한 삼봉지구에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인구 증가 효과를 톡톡히 봤다. 지난해 1300여명이 증가한 데 이어 올해도 석달간 1224명이 늘었다. 그 외 지역은 출산과 주거 지원은 물론 재난지원금, 전입지원금 지급, 반값 대학등록금 지원, 각종 귀농귀촌 정책이 맞물리면서 인구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김제시는 모든 주민들에게 100만원씩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지난해 9월부터 꾸준히 인구가 늘었다. 올해 역시 석달간 인구가 231명이 증가했다. 비슷한 시기에 재난지원금 100만원을 준 전남 영광군도 일년새 인구가 222명 늘어난 것을 보더라도 현금 지급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시는 청년 붙들기를 위해 결혼축하금으로도 10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또 ‘내 지역 주소갖기’ 캠페인도 효과를 보고 있다. 전춘성 진안군수는 직접 기업과 파출소 등을 다니며 전입 혜택 및 유관기관 전입장려금 제도를 안내하고 있다. 지역 인구정책에 적극 동참할 것을 호소한 결과 올해 150명의 단비 같은 인구를 확보할 수 있었다.
물론 잠깐의 주소지 이전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그 지속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지자체들도 이 부분에 공감한다. 전북지역 한 농촌 지자체 관계자는 “각종 인구 늘리기 정책을 추진한 결과 몇 달간 인구가 점차 늘고 있다”면서 “인구 증가 현상이 확실한 반등으로 이어지려면 기존 정책을 보완하고 추가 사업을 진행하는 등 노력이 필요한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