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스크 앞 쩔쩔 매지 마세요...정부, 디지털 문해교육 나선다

키오스크 앞 쩔쩔 매지 마세요...정부, 디지털 문해교육 나선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3-01-29 15:18
업데이트 2023-01-29 15: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백화점 푸드코트 키오스크
백화점 푸드코트 키오스크 서울 시내 한 백화점 푸드코트 키오스크에서 주문을 하는 시민들의 모습. 2023.1.4
연합뉴스
음식점내 설치된 무인 주문기(키오스크)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 등 소외계층을 돕기 위한 디지털 문해교육이 실시된다.

교육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성인 문해교육 지원사업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29일 밝혔다. 정부는 사회·경제적 여건 때문에 교육 기회를 놓친 어르신 등을 대상으로 문자를 읽거나 쓰고, 셈하는 능력을 포함해 일상생활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도와주는 문해교육을 2006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문해교육은 주로 어린 시절 어려운 형편 때문에 글을 배우지 못한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는데, 최근 디지털 기기 활용이 늘어나면서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에 교육부는 스마트폰 사용이나 키오스크를 이용한 음식 주문, 은행 계좌 이체 등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새롭게 추진한다. 광역 지방자치단체 단위로 디지털 문해교육 거점기관을 선정해 지원하고 관련 학습자료와 온라인 강의도 보급한다.

아울러 비문해·저학력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 문해교육도 확대한다. 2020년 성인문해능력 조사에 따르면 18세 이상 성인의 4.5%인 200만 1428명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읽기와 쓰기, 셈하기가 불가능한 수준으로 추정된다.

평생교육시설이나 야학 등에 운영비를 지원하고 강사가 직접 경로당·마을회관 등을 찾아가는 문해교실도 지원한다. 무상 보급하는 기초 문해교육 교과서는 국가문해교육센터에서 본인이나 가족이 전화 또는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다.

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