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로 친구 잃었는데 또···” 이태원역 앞 포스트잇에 못다 한 마지막 인사

“세월호로 친구 잃었는데 또···” 이태원역 앞 포스트잇에 못다 한 마지막 인사

곽소영 기자
입력 2022-11-09 18:27
수정 2022-11-09 18: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추모공간
유가족·지인·생존자 추모 발걸음
“가지 말라고 전화라도 할 걸”
“국가에 안전 책임” 강조하기도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이태원 참사 추모 공간에 시민들이 직접 쓴 추모 편지가 빼곡히 붙어 있다. 김정화 기자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이태원 참사 추모 공간에 시민들이 직접 쓴 추모 편지가 빼곡히 붙어 있다.
김정화 기자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12일째인 9일 여전히 많은 시민이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추모 공간을 찾아 국화꽃과 추모 편지를 놓고 갔다. 시민들은 희생자를 추모하며 “당신의 잘못이 아니다”라고 위로했고, “잊지 않고 기억하겠다”고 다짐했다.

“세월호로 친구를 잃었는데 또 친구를 잃었다”…지인들의 못다 한 마지막 인사희생자의 유가족과 지인들은 못다 한 마지막 인사를 손글씨에 실어 전했다. “얼마나 무섭고 고통스러웠을지 생각하면 마음이 찢어지게 아프다. 오늘 너의 사망 신고를 하러 왔어. 편히 쉬고 있어”, “정말 미안해. 그때 널 데리고 나왔어야 했는데 나만 살아 있어서 정말 미안해”, “가지 말라고 전화라도 해볼걸. 매일 매일 후회가 된다. 그곳에선 평안하니?” 등 희생자의 이름을 눌러 쓴 포스트잇이 곳곳에 보였다.

검은 천으로 쌓인 국화 꽃다발에는 “8년 전 세월호로 친구를 잃으면서 그게 마지막 눈물인 줄 알았는데 친구들을 또 잃었다. 누군가를 잃는 것이 정말 이번이 마지막이길. 보고 싶어 친구들아”라는 포스트잇이 붙어 있었다. 지하철역 입구 앞에도 “사실 아직 실감이 안 나. 너 주려고 소주도 사고 국화도 샀어. 처음 주는 꽃이 국화라서 너무 미안해”라는 손편지가 있었다.
이미지 확대
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참사 사고 현장 인근에 희생자의 가족이 작성한 추모 글귀가 붙어 있다. 2022.11.9 오장환 기자
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참사 사고 현장 인근에 희생자의 가족이 작성한 추모 글귀가 붙어 있다. 2022.11.9 오장환 기자
“같은 장소에 있었는데 마음이 무겁다”…참사 생존자도 추모 공간 찾아참사 당일 현장을 지나갔거나 구조 활동을 했던 참사 생존자들도 용기를 내 이태원을 다시 찾았다. 한 노란 종이에는 “같은 날,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있었는데 나 혼자 무사히 집에 돌아와서 마음이 너무 무거워요. 멀쩡히 돌아간 저도 집 앞을 지나가는 구급차 사이렌 소리를 들으면 숨을 쉴 수가 없는데 당시 얼마나 큰 고통을 느끼셨을지 가늠조차 할 수 없어요”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

참사 현장에 있던 다른 시민들도 “그때 그 자리에 있었는데 많은 도움 주지 못해 미안해요”, “누군가 ‘왜 그러게 거기에 가서 죽었냐’라고 음해한다면 ‘우리는 즐거워지려고 간 거다’라고 말합니다. 함께 즐겁게 놀 수 있는 세상을 살았으면 참 좋았을 거라는 마음을 삼킵니다”라며 희생자를 추모했다.

참사 당시 심폐소생술(CPR)을 했던 한 간호사도 “제가 한 심폐소생술이 아프진 않으셨나요. 눈 감는 길 외로우시지 않게 도와드렸어야 했는데, 제가 마지막에 함께 계셨던 세 분 편히 쉬시길 바랍니다”라며 추모 글을 남겼다.
이미지 확대
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참사 사고 현장 인근 이태원역 1번출구에 마련된 추모 공간에 희생자들의 향한 추모 글귀가 붙어 있다. 2022.11.9 오장환 기자
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참사 사고 현장 인근 이태원역 1번출구에 마련된 추모 공간에 희생자들의 향한 추모 글귀가 붙어 있다. 2022.11.9 오장환 기자
 사회적 책임 강조하는 시민들…추모 공간 지키는 자원봉사자도시민들도 한마음으로 추모 행렬에 동참했다. 흰 국화꽃 사이 알록달록한 장미 꽃다발에는 “하얀 국화꽃만 두기엔 너무 반짝이고 다채로웠을 삶이라 평소 제가 좋아하는 예쁜 꽃을 두고 가요. 똑같은 일이 다시 생기지 않도록 오래도록 얘기할게요”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 “너희들은 행복하게 놀 권리가 있고 국가는 안전을 지켜 줄 의무가 있다”, “국가는 국민의 안전에 대한 책임이 무한합니다”와 같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추모 글도 보였다.

이날 추모 공간을 찾은 전영복(64)씨는 “자식 같은 아이들이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현장이라 한 번쯤 들러 추모하고 싶었다”며 “너무 평범한 길거리라 조금만 통제가 됐어도 안 났을 사고라 마음이 너무 아프다”고 눈물을 흘렸다.

추모 포스트잇이 바람에 휩쓸려 날아가지 않도록 자원봉사자들도 분주하게 움직였다. 추모 공간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A씨는 “유족이 현장에 왔을 때 시민들이 같이 슬퍼하고 애도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훼손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