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 핼러윈을 맞아 인파가 몰려 대규모 인명사고가 발생,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2022.10.30 연합뉴스
10~20대의 꽃다운 청년들이 죽었고 사상자의 가족들은 오열했으며, 실종자 가족들은 밤새 애타는 마음으로 발을 굴렀다. 시민들은 시시각각 늘어나는 사망 소식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이날 성명서에서 “이번 참사로 사망한 분들의 유가족과 지인, 부상당한 분들과 가족, 목격자, 사고대응인력 등을 비롯한 많은 국민의 큰 충격이 예상되며 대규모의 정신건강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트라우마는 사고, 자연재해, 폭행, 질병 등 자신과 타인에게 신체·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준 사건으로 극도의 불안과 공포, 고통을 겪는 증상을 말한다. 피해 발생 후 수년 후에 발병할 수도 있다. 특히 피해자들에 대한 심리치료가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트라우마에서 벗어나기가 더 어렵다.
학회는 “세월호 참사, 코로나19 대유행을 비롯한 국가적인 재난상황에서처럼 민간 전문가의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국가의 재난정신건강지원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사고 직후부터 희생자에 대한 비난글, 사고 당시의 참혹한 영상과 사진 등이 여과 없이 공유되고 있다. 학회는 이런 행위가 고인과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2차, 3차 피해를 일으키는 것은 물론, 다수 국민에게 심리적 트라우마를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학회는 “현장 영상이나 뉴스를 과도하게 반복해서 보는 행동도 자신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자제하는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또한 “온라인 상의 혐오 표현은 유가족과 현장에 있던 분들의 트라우마를 더욱 가중시키고 회복을 방해한다”고 지적했다.
백종우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회장은 “이런 일이 벌어지면 본인들의 잘못이 아닌데도 왜 막지 못했나 하는 죄책감, 불안이나 분노 같은 감정 조절의 어려움을 겪는다”며 “초기에 나타나는 이런 애도 반응은 정상적인 반응이나 심리적 응급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통스러운 트라우마 증상이 지속되는 고위험군이 나타나면 서비스를 연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국가트라우마센터, 서울광역센터, 용산 등 기초센터로 이태원 사고 통합심리지원단을 구성해 상담에 나설 계획이다. 전화 심리지원은 심리지원 핫라인(1577-0199)에서 받을 수 있다. 심리지원 대상자는 유가족 600여명과 부상자, 목격자 등 1000여명이다. 구조인력이나 목격자, 지인 등 간접적으로 사고를 경험한 사람도 트라우마가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