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숭이두창이 전 세계에 확산하면서 질병관리청은 지난 1일부터 빈발국 여행력과 주의안내문(사진) 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확진된 2번째 감염자 A씨는 유럽 방문 후 지난달 18일 입국했으며, 2주 후인 지난 1일 보건소에 스스로 문의하면서 당국에 의해 의사환자로 분류됐다.
A씨는 입국 당시에는 무증상이었으나, 같은 달 28일 발열, 두통, 어지러움 등 증상이 나타났다. 이후 30일 서울의 한 동네병원을 방문했지만, 이곳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가능성이 파악되진 않았다. 결국 입국한 지 2주가 지나 의심환자로 분류되면서 다수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크다.
방역당국은 “증상이 나타난 후 감염 우려가 있는 것으로 보고 역학 조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해외 방문 이력이 있는 점이나 긴 잠복기를 고려하면 A씨는 해외 방문지에서 감염된 뒤 국내에 유입됐을 것으로 보인다. 원숭이두창은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기가 짧게는 5일에서 길게는 21일까지도 걸린다.
당국은 지난 6월 22일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환자가 확인된 이후 관련 방역망을 강화해왔다. 감염병 위기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한 뒤 지난 7월 초 치료제인 테코비리마트 504명분을 도입했다. 또 필수 의료진에 대한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 진단검사 체계도 확대하는 한편, 원숭이두창 24시간 종합상황실과 즉각대응팀을 설치하는 등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그런데도 증상 발견 후 닷새 동안이나 환자가 방역망 밖에 있었던 만큼 원숭이두창의 방역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앞선 첫 환자 발생 당시에도 입국 당시 37.0도의 미열과 인후통, 무력증, 피로 등 전신 증상과 피부 병변의 증상이 있었지만, 공항 검역대를 그대로 통과했고 환자가 공항 로비에서 스스로 방역 당국에 신고한 바 있다.
당국은 심층 역학조사를 통해 특정 시기 동안의 A씨 동선을 파악하고 접촉자는 노출 수준에 따라 관리할 계획이다. 원숭이두창의 접촉자 고위험군은 증상이 나타난 지 21일 이내에 접촉한 동거인이나 성접촉자다. 저위험군은 접촉은 했으나 거리가 가깝지 않은 경우, 중위험군은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숭이두창 환자를 진료한 의료인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