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에 꼬리 무는 ‘N차 피해’
부업 사기 피해자 A씨는 30일 “사기 피해를 입은 후 돈을 돌려달라고 약 2주 동안 매달렸다”면서 “그런 상황에서 사기꾼들은 알몸 사진을 보내라고 수차례 요구했고 그것도 못 하겠으면 신체 일부 사진이라도 보내라고 했다”고 말했다.
우선 가해자들은 큰돈을 잃어 지푸라기라도 잡아 보려는 피해자의 절박한 마음을 이용해 “손실 금액을 돌려받도록 도와주겠다”며 재차 접근했다.
이들은 사기 피해자들이 모여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은밀히 접근해 도움을 주겠다고 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가입만 하면 쪽지를 보낼 수 있다는 점을 알고 “나도 한때 피해자였고 당신을 도와주려고 한다”는 식으로 접근한다는 것이다.
그런 뒤 스스로 ‘화이트 해커’라고 부르며 돈을 돌려받는 법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피해자의 경계심을 풀었다. 사기 일당이 보유한 수십개의 계좌 중 하나를 피해자의 신용카드 가상계좌로 바꿔 놓아 피해금액을 회수해 주겠다는 것이다. 대신 피해 금액 회수 조건으로 일부 금액을 내야 한다고 했다.
일부 화이트 해커는 버젓이 블로그를 운영하며 피해자를 유혹했다. 또 다른 피해자는 “손해를 입었다고 커뮤니티에 올리면 이를 보고 피해자에게 자칭 화이트 해커라는 사람이 연락해 사이트를 공격해 돈을 받아준다고 설명한 후 돈을 받고 종적을 감춘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러한 화이트 해커에게 도움을 청하는 순간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진다는 점이다. 1차 가해자가 운영하는 사이트를 해킹하면 곧바로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연락해 “왜 우리 사이트를 공격해 피해를 입혔느냐”며 피해 보상을 요구한다고 했다. 이 과정에서 피해자를 고소하겠다며 협박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피해자는 심적으로 더욱 피폐해지고 가해자에게 “원하는 것은 모두 들어줄 테니 한 번만 용서해 달라”며 애원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고 복수의 피해자들이 전했다.
이러한 피해자의 취약한 상황을 이용해 성폭력을 저지르기도 한다. 이들은 “더이상 줄 돈이 없으면 나체 사진을 내놓아라”고 요구했고 일부 피해자는 이러한 요구에 응해 실제 사진을 제공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식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금전을 잃은 피해자는 불안감이 높고 심리적으로 흔들린 상태인데 가해조직이 이를 이용해서 재차 금전을 요구하고 피해자는 이를 거부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자신들이 무서운 존재라고 두려움을 줘 피해자가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데 그렇더라도 피해자는 적극적인 신고를 통해 2차 피해를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2-07-0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