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하지 않은 백신 제공될 일 없다…4개 백신, 장단점 달라”

“안전하지 않은 백신 제공될 일 없다…4개 백신, 장단점 달라”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12-09 15:39
수정 2020-12-09 15: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AFP 연합뉴스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AFP 연합뉴스
“백신 계약 4곳, 만일의 실패 가능성 고려한 조합”
정부가 코로나19 백신을 제약사 4곳으로부터 도입하기로 한 것은 “실패 가능성을 고려한 조합”이라고 설명하며 안전성을 우선시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모더나, 얀센 등의 제약사로부터 4400만명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들여오는 계약을 체결했다.

각각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 1000만명분(2000만회분, 2회 접종) ▲모더나 백신 1000만명분(2000만회분, 2회 접종)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000만명분(2000만회분, 2회 접종) ▲존슨앤존슨-얀센 400만명분(1회 접종)이다.

백신마다 가격·효능·방식 장단점 달라각 백신은 항체 형성 방식, 접종 횟수, 가격, 임상시험 결과 등에서 각각 조금씩 차이가 있다.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모더나는 2회 접종, 얀센은 1회 접종이 필요하다.

아스트라제네카·얀센, 가격 싸고 유통 용이
이미지 확대
정부가 도입 결정한 존슨앤드존슨-얀센 ‘코로나19’ 백신
정부가 도입 결정한 존슨앤드존슨-얀센 ‘코로나19’ 백신 정부가 4백만 회분을 구매하게 될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얀센의 코로나19 백신의 일러스트. 2020.12.8
로이터 연합뉴스
1명당 공급가격은 아스트라제네카가 가장 싸다. 2회 접종에 총 6~10달러(약 6600원~1만 800원)다.

얀센은 10달러(약 1만 900원)선으로 가격을 책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이 개발한 백신은 항원 유전자 일부를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에 넣어 만든 ‘전달체(벡터) 백신’이다. 이는 기존 백신 개발에서 사용된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검증된 방식이다.

다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투여량에 대한 연구가 좀 더 필요하고, 얀센은 아직 3상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화이자·모더나, 빠른 진척…비싸고 안전성 지켜봐야
이미지 확대
미 제약사 화이자가 생산한 코로나19 백신. 로이터 연합뉴스
미 제약사 화이자가 생산한 코로나19 백신.
로이터 연합뉴스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메신저 리보핵산(mRNA·전령RNA)을 활용해 개발한 ‘핵산 백신’이다.

이는 기존에 없던 새로운 방식이다. 아직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보관 및 유통 조건도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매우 까다롭다. 각각 -70℃, -20℃의 초저온 유지가 필요해 콜드체인(저온유통망)이 필수적이다.

가격도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보다 비싸다. 1명당 화이자는 39달러(약 4만 2400원), 모더나는 30~50달러(약 3만 2600원~5만 4200원)다. 콜드체인까지 감안하면 비용은 더 늘어난다.

다만 우리나라는 모든 접종을 무료로 진행할 방침이다.

안전성·효능 등 위험분산 위해 골고루 확보
이미지 확대
정부가 도입 결정한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정부가 도입 결정한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정부가 글로벌 제약사와 다국가 연합체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백신 4400만 명분을 사실상 확보했다. 우리 정부와 선구매에 합의한 제약사는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미국의 화이자·존슨앤드존슨-얀센·모더나 등 4개사다. 4400만 명분은 우리나라 인구 88%가 접종할 수 있는 분량으로, 백신이 내년 초에 도입되더라도 실제 접종은 노인·의료인 등 우선 대상자를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에나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정부가 2천만 회분을 구매하게 될 글로벌 제약사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의 일러스트. AFP 연합뉴스
3상 임상시험 초기 데이터 분석 결과까지 발표한 아스트라제네카는 투약 방법에 따라 70~90%의 예방 효과를 보고했다. 3상 최종 결과를 발표한 화이자와 모더나는 각각 95%, 94.1%다.

정부가 이처럼 제조 원리와 접종 횟수, 가격, 유통방법, 개발 진척도 등에서 조금씩 차이가 나는 4가지 백신을 들여오기로 한 것은 코로나19 백신을 둘러싼 불확실성과 위험을 최대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9일 MBC 라디오에서 “백신을 개발하는 방식이 총 4가지가 있는데, 어떤 백신이 성공을 할 수 있을지 실패할 수 있을지 아직 확실히 모르는 상황”이라면서 “실패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백신 개발 방식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합해서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실패 가능성 낮다…안전성 불안해할 필요없어”다만 현재 국내 도입이 예정된 백신들에 대해 “크게 실패할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면서 “접종 이후에 어떤 백신이 우수한지 등을 지속 점검해 이후 접종 계획에도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 국장은 백신 부작용이 발생해도 제약사가 면책되는 계약 조항에 대해서는 “모든 것을 (제약사) 책임으로 묻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백신 개발에) 평균적으로 8∼10여년 걸리는데 1년 이내에 개발했기 때문에 모든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한 책임을 제약사에 지우긴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언급했다. 여러 국가가 앞다퉈 백신을 선구매하는 상황에서 회사에 책임을 묻는 조건으로 구매하기는 사실상 어려웠다는 취지다.

다만 백신 부작용을 지나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임 국장은 “안전성과 관련한 부분은 정부에서 여러 방안을 만들어놨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은 백신이 국민들에게 제공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 개발되는 백신의 경우 특별하게 레벨이 높은 수준의 부작용은 없다”면서 “근육 경련이나 미열, 오한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국내에 가장 먼저 도입되는 것에 대해서는 “백신의 생산지가 한국이다”라면서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위탁해서 생산하는 물량이 들어오기 때문에 쉽게 말해서 메이드 인 코리아 백신”이라고 강조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