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석무 이사장 인터뷰
항쟁 상황 등 8개 소주제별 꼼꼼히 정리“당시에 발각됐으면 죽음 면치 못 했을 것”
“신군부에 의해 죽임을 당할 수도 있다는 생각에 죽기 전 광주의 진실을 밝혀두고자 비장한 각오로 기록했습니다.”
13일 5·18 항쟁 10일간의 생생한 자필 기록물을 공개한 박석무(77·당시 광주 대동고 교사) 다산연구소 이사장은 “당시 산 자로서의 진실을 후대에 전하기 위한 의무감 같은 것이 머릿속을 짓눌러 극심한 고통에 시달렸다”며 “당시 이 글이 발각됐더라면 죽음을 면치 못했을 것”이라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그는 1장 머리말을 통해 당시 ‘사태’나 ‘폭동’으로 표현된 5·18을 반민주·반민족·반역사적 행위에 대해 정면으로 저항한 ‘의거’로 단정했다. 이어 2~8장을 통해 5·18을 황산벌 전투, 동학혁명, 한일 의병투쟁, 3·1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4·19혁명 등 매번 패배했지만 의로운 투쟁의 연장으로 바라보며 전라도를 설명했다.
박 이사장은 5·18항쟁 뒤인 1980년 6월 5일까지 광주에서 은신하다가 당국에 잡히면 죽음을 맞을 수밖에 없겠다고 판단한 나머지 서울로 피신했다. 이어 같은 달 14~15일 새로운 은신처에서 자신이 겪었던 5·18에 국내외 언론보도 내용 등을 보태 ‘5·18 광주 의거-시민항쟁의 배경과 전개 과정’이란 글을 마무리했다. 국회의원 시절 공개도 검토했으나 정치적 논란을 우려해 지금껏 보관 중이다. 곧 출범하는 5·18진상규명조사위에도 제공했다. 박 이사장은 1980년 12월 5·18과 관련해 투옥됐다가 이듬해 3월 풀려난 뒤 1988년 평화민주당에 입당해 13~14대 의원을 지냈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9-05-1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