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과 소통 시도… 일방적 선전 우려
26일 오후 유튜브와 페이스북에서 경찰청의 첫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라이브 방송’이 진행됐다. 네티즌들이 질문하면 경찰관이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된 이날 방송에서는 “채용 인원은 어떻게 결정되나요?”와 같은 질문도 있었지만, “저 이상형이 경찰이에요.”, “여기서 욕하면 바로 잡혀가나요?”, “혹시 112 전화로 짜장면 시키면 와요?” 등 엉뚱한 질문들이 종종 올라와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국민과 직접 소통을 하겠다는 취지로 마련된 실시간 방송의 ‘맹점’이 첫 방송부터 드러난 것이다.
청와대, 육군에 이어 경찰도 26일 SNS 라이브 방송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경찰의 주요 정책을 매주 소개하고, 각 정책 담당자들이 네티즌과 직접 대화를 하면서 궁금증을 풀어준다는 취지다. 폐쇄적인 권력 기관이 시민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가려는 모습은 긍정적으로 평가받지만, 언론 등 외부의 감시와 견제를 건너뛴 채 일방적인 홍보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SNS 라이브 방송을 진행 중인 정부 부처 중에 가장 앞서 시작한 곳은 보건복지부다. 복지부는 2017년 4월부터 ‘따스아리’(따뜻한 메아리의 준말)라는 이름의 유튜브, 페이스북 채널을 통해 정책을 알려 왔다. 같은 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에 앞서 청와대가 라이브 방송을 시작했고, 올 3월 행정안전부, 육군 등이 새로 뛰어들었다. 특히 ‘육개장’(육군 개혁의 장터 준말)이란 유튜브, 페이스북 채널을 운영하는 육군은 주원, 태양, 대성 등 연예장병을 활용하면서 효과를 톡톡히 봤다.
이택광 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정부 기관의 라이브 방송 진출에 대해 “언론에 대한 신뢰 부족, 미디어 환경 변화가 만들어낸 현상”이라면서도 “언론이 정론 보도를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기보다 개별 채널을 만들어 정부 입장을 전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재국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정부는 견제와 감시를 받아야 한다”면서 “정책의 일방적 선전, 소개 채널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팩트체크 등 검증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8-12-27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