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민간인 학살 어렵게 입 뗀 생존자 “참상 알려져서 다행”

베트남 민간인 학살 어렵게 입 뗀 생존자 “참상 알려져서 다행”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8-04-25 22:24
수정 2018-04-26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피고 대한민국은 원고들의 존엄과 명예가 회복될 수 있도록 책임 등에 관해 공식 인정하라.”
이미지 확대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 시민평화법정에서 재판장이 “피고 대한민국은 책임을 공식 인정하라”고 선고를 내리자 베트남인 응우옌티탄(오른쪽 첫 번째)이 참석자들과 함께 기뻐하고 있다.  시민평화법정 준비위원회 제공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문화비축기지에서 열린 시민평화법정에서 재판장이 “피고 대한민국은 책임을 공식 인정하라”고 선고를 내리자 베트남인 응우옌티탄(오른쪽 첫 번째)이 참석자들과 함께 기뻐하고 있다.
시민평화법정 준비위원회 제공
지난 22일 ‘베트남 전쟁 시기 한국군에 의한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평화법정’에서 재판장을 맡은 김영란 전 대법관의 주문 선고에 원고로 참석한 두 명의 응우옌티탄은 “이겼다”며 환호했다. 비록 모의법정이지만 50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에서 상처를 보듬어 주는 것과도 같은 기쁨이었다.

당시 시민법정 준비위원회 집행위원장을 맡았던 임재성(38·변호사시험 4회) 변호사는 25일 “시민법정에 생존자들을 세우는 것이 오히려 가해자의 논리로 폭력의 증거로 삼는 건 아닌지 많은 고민을 했는데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서 두 분이 손을 꽉 잡고 활짝 웃으며 나와 모든 걱정을 내려놨다”고 설명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을 중심으로 50개 시민단체가 추진한 시민법정은 2000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과 비슷한 모양새를 띠었다.

임 변호사에 따르면 원고가 된 두 사람은 공통점이 많았다. 1968년 2월 같은 시기 인근 마을에서 비슷한 학살을 겪고 살아났고 이름도 같았다. 마을 주민 74명이 희생된 베트남 꽝남성의 퐁니·퐁넛마을 학살의 생존자인 응우옌티탄(58)은 2015년에 이어 두 번째 한국에 왔지만 135명이 사망한 하미마을 학살의 생존자인 응우옌티탄(61)은 처음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꺼냈다. 용기를 내는 것부터 한국에 오도록 설득하는 데 꼬박 두 달이 넘게 걸렸다고 한다. 하미마을의 응우옌티탄은 한국군의 수류탄 때문에 어머니와 사촌 동생을 잃고 자신도 왼쪽 귀가 전혀 들리지 않게 된 상황을 법정에서 또박또박 밝혔다. 불도저로 마을 전체가 휩쓸려 증거가 남지 않은 하미마을의 학살을 자신이 대표해서 알리게 돼 기쁘다면서 “마을 사람들에게 좋은 소식을 전해 줄 수 있어 다행”이라고 말했다.

임 변호사 등 민변에서는 국가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청구소송도 계획하고 있다. 1968년 퐁니마을의 진상 조사를 벌이기도 했던 국가정보원(당시 중앙정보부)을 상대로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소송을 내 다음달 11일 첫 변론이 열린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18-04-26 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