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가야유적 중 첫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이 나왔다. 정부가 가야사 문화권 조사·정비를 국정과제로 선정한 이후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전북 남원시 인월면 유곡리와 두락리 일원에 있는 봉토분 40여기를 묶은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42호로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호남 지역에 분포한 가야 유적이 사적으로 지정된 첫 사례다. 그간 정부와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해 사실상 방치돼 있었던 호남 가야 유적에 대한 이번 조치를 계기로 조사·연구도 활발해질 것으로 학계는 기대한다.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은 지리산의 한 줄기인 연비산에서 서쪽으로 내려오는 언덕의 능선을 따라 조성된 가야와 백제 무덤으로 이 중엔 지름 20m가 넘는 대형 무덤도 12기 포함돼 있다.
1989년과 2013년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된 발굴조사에서 가야계 수혈식 석곽묘(구덩식 돌덧널무덤)와 백제계 횡혈식 석실분(굴식 돌방무덤)이 함께 확인됐다.
특히 32호분으로 명명된 타원형 무덤에서는 길이 7.3m, 너비 1.3m, 깊이 1.8m 크기의 대형 수혈식 석곽묘가 발견됐는데 과거 백제 왕릉급 무덤에서 나오는 청동 거울과 금동신발 조각 등 최고급 유물이 출토되면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봉분을 견고히 하기 위해 흙을 얇은 판 모양으로 번갈아 가며 켜켜이 다져 올리는 판축기법으로 쌓고, 석곽을 축조할 때 나무기둥을 이용하는 등 당시 무덤 축조 기술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드러낸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5~6세기 전북 동부 지역의 고대사와 고대문화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문화재청은 전북 남원시 인월면 유곡리와 두락리 일원에 있는 봉토분 40여기를 묶은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42호로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호남 지역에 분포한 가야 유적이 사적으로 지정된 첫 사례다. 그간 정부와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해 사실상 방치돼 있었던 호남 가야 유적에 대한 이번 조치를 계기로 조사·연구도 활발해질 것으로 학계는 기대한다.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은 지리산의 한 줄기인 연비산에서 서쪽으로 내려오는 언덕의 능선을 따라 조성된 가야와 백제 무덤으로 이 중엔 지름 20m가 넘는 대형 무덤도 12기 포함돼 있다.
1989년과 2013년 두 차례에 걸쳐 시행된 발굴조사에서 가야계 수혈식 석곽묘(구덩식 돌덧널무덤)와 백제계 횡혈식 석실분(굴식 돌방무덤)이 함께 확인됐다.
특히 32호분으로 명명된 타원형 무덤에서는 길이 7.3m, 너비 1.3m, 깊이 1.8m 크기의 대형 수혈식 석곽묘가 발견됐는데 과거 백제 왕릉급 무덤에서 나오는 청동 거울과 금동신발 조각 등 최고급 유물이 출토되면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봉분을 견고히 하기 위해 흙을 얇은 판 모양으로 번갈아 가며 켜켜이 다져 올리는 판축기법으로 쌓고, 석곽을 축조할 때 나무기둥을 이용하는 등 당시 무덤 축조 기술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드러낸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5~6세기 전북 동부 지역의 고대사와 고대문화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3-29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