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하라… 사랑하라
평생을 ‘돈 버는 기계’로 살다가 뒤늦게 돌아온 가정에서 소외감을 느낀다는 남편, 애들 뒷바라지에 남편 내조하느라 ‘내 삶은 없었다’는 아내. 황혼기 부부에게 다가온 위기를 막기 위해선 어떤 방책이 필요할까.전문가들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가족의 탄생부터 소멸까지의 전 과정에 걸친 장기 계획과 중년 이후 부부 관계의 리모델링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정현숙(상명대 가족복지학과 교수) 한국가족관계학회장은 “100세 시대에 길게는 70년이 넘는 결혼 생활을 잘 유지하기 위해 애초 결혼을 할 때부터 나에게 결혼이란 어떤 의미인지, 어떤 가정을 꾸려나갈 것인지 근본적인 것부터 따져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중년 이후부터는 부부 관계에 ‘리모델링’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김미영 서울가정문제상담소장은 “결혼한 지 20년 이상 된 중년 부부의 경우 지난 시간을 뒤돌아보고 문제점은 무엇이며 향후 관계는 어떻게 정립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서로의 의사소통 방식을 점검하고, 경제권이나 의사 결정권 등 부부 권력이 어느 한쪽으로 쏠려 갈등 요소가 있는 건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는 조언이다.
외도 등 젊어서 저지른 잘못에 대해서도 진정성 있는 사과와 용서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김 소장은 “남편들은 젊어서 바람 한 번 피운 걸로 아내가 평생을 의심한다고 호소하는데, 아내는 진정한 사과를 못 받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진심을 다해 사과하고 달라진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황혼기 부부 사이에는 서로에 대한 정서적 지지가 중요하다. 강은숙 서울가정법원 가사상담위원은“30년 이상 함께한 부부 사이에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지역사회 상담소 등을 방문해 지금껏 가족을 지탱해 온 서로의 노고를 인정하고 칭찬하는 시간을 갖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가정의 무게 중심이 지나치게 자녀들에게 쏠려 있는 한국식 가족 문화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유계숙 경희대 아동가족학과 교수는 “젊어서 자녀 교육 등에만 집중해 살다 보니 노년에 이르러 둘만 남아 있는 상황을 견디지 못하는 부부가 많다”며 “애초부터 부부 중심으로 가정을 꾸려가야 나중에 자녀들이 출가해 둘만 남는 상황에서도 소통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5-10-0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