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 기형유발 혈액 유통…구멍난 혈액관리

태아 기형유발 혈액 유통…구멍난 혈액관리

입력 2013-10-28 00:00
업데이트 2013-10-28 15: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4년간 1436건 출고

임신부에게 수혈하면 태아 기형을 일으킬 수도 있는 헌혈 금지약물 복용 헌혈자한테서 채혈한 혈액이 시중에 버젓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신의진 새누리당 의원은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한적십자사에게서 제출받은 ‘헌혈 금지약물 복용자 채혈 및 혈액 출고 현황’이라는 자료를 근거로 “최근 4년간(2010~2013년 8월) 헌혈금지 약물 복용자한테서 1373건 채혈을 했고, 이 중 수혈용으로 출고된 건수도 1436건이나 됐다”고 말했다. 출고 건수는 2011년 370건, 2012년 487건이었고, 올해도 8월 말까지 202건이나 됐다.

 헌혈 금지약물은 수혈을 통해 임신부에게 전해지면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적십자는 이 약물들을 복용한 사람은 일정기간(여드름 치료제 1개월, 전립선비대증치료제 1~6개월, 건선치료제 3년) 헌혈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적십자사는 현재 금지약물 복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사고방지 정보조회시스템’을 구축하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방부로부터 날마다 금지약물 처방 정보를 제공받는다.

 신 의원은 “문제는 헌혈 시 문진에서 금지약물 복용자들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한다는 점”이라면서 “문진의 실효성을 위해 헌혈기록카드(문진표)를 보완해야 하는데도 2010년 이후 단 한번도 헌혈기록카드 관련 내용을 보완하지 않았다”고 적십자사를 비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