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함께 배우는 통합교육이 흔들릴 수 없는 대세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시·도 교육청은 장애학생들이 특수학교 대신 일반학교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통합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장애학생들끼리 모아놓은 학교에서는 사회성이나 자립심 등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면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도 통합교육이 이미 정착화돼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통합교육의 전제가 되는 일반학생들이 장애학생을 동등한 눈높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또 장애학생에 대한 별도의 관심은 전적으로 담임교사나 생활지도교사의 개별적인 역량에 맡겨지고 있다. 특수교사들 역시 각종 문제가 발생한 뒤에나 개입할 수 있다. 실제 명환이가 다니던 A고교의 특수교사 이모씨 역시 폭행이 발생한 지 5개월이 지나서야 상담실을 찾아온 명환이의 같은 반 학생 제보를 통해 폭행사실을 알게 됐다. 가해학생들을 불러 사실을 확인한 뒤에도 학생부장에게 알리는 것 외에 더 이상 손쓸 방법이 없었다. 한 특수교사는 “장애학생들은 차별을 당해도 드러내놓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통합교육이 선진화된 국가에서는 초등학교 이전부터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교육이 이뤄지지만, 국내에서는 이런 절차가 없다 보니 중·고등학교에서 같은 반에 장애학생이 있으면 적절한 대응 방법을 찾지 못하고 불편해하기만 하는 학생들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장애학생을 둔 학부모들은 교사의 역량강화에 대한 중요성도 지적하고 있다. 뇌병변장애 2급 딸을 둔 한 학부모는 “신경을 더 써야 하는 학생이 있다는 사실에 거부감부터 표시하는 교사들이 많다.”면서 “교사들이 장애학생을 더 세심하게 배려하고, 관찰해 교우들과의 관계설정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면 오히려 장애학생들에게 절망만 안겨주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건형·윤샘이나기자
kitsch@seoul.co.kr
문제는 통합교육의 전제가 되는 일반학생들이 장애학생을 동등한 눈높이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또 장애학생에 대한 별도의 관심은 전적으로 담임교사나 생활지도교사의 개별적인 역량에 맡겨지고 있다. 특수교사들 역시 각종 문제가 발생한 뒤에나 개입할 수 있다. 실제 명환이가 다니던 A고교의 특수교사 이모씨 역시 폭행이 발생한 지 5개월이 지나서야 상담실을 찾아온 명환이의 같은 반 학생 제보를 통해 폭행사실을 알게 됐다. 가해학생들을 불러 사실을 확인한 뒤에도 학생부장에게 알리는 것 외에 더 이상 손쓸 방법이 없었다. 한 특수교사는 “장애학생들은 차별을 당해도 드러내놓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통합교육이 선진화된 국가에서는 초등학교 이전부터 장애인에 대한 다양한 교육이 이뤄지지만, 국내에서는 이런 절차가 없다 보니 중·고등학교에서 같은 반에 장애학생이 있으면 적절한 대응 방법을 찾지 못하고 불편해하기만 하는 학생들이 생긴다.”고 강조했다.
장애학생을 둔 학부모들은 교사의 역량강화에 대한 중요성도 지적하고 있다. 뇌병변장애 2급 딸을 둔 한 학부모는 “신경을 더 써야 하는 학생이 있다는 사실에 거부감부터 표시하는 교사들이 많다.”면서 “교사들이 장애학생을 더 세심하게 배려하고, 관찰해 교우들과의 관계설정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면 오히려 장애학생들에게 절망만 안겨주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건형·윤샘이나기자
kitsch@seoul.co.kr
2012-02-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