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에 묻혀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수도 관망 관리에 첨단 로봇이 투입된다.
환경부는 5일 연구사업의 하나로 개발된 상수관망 관리 로봇을 올해 태백시 등 현장에 시범 적용한 뒤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을 위해 환경부는 지식경제부와 로봇 시범사업 양해각서(MOU)를 교환했으며, 향후 3년간 70억원을 투입한다.
국내 최초로 상수도 관망 분야에 로봇 시스템을 접목하는 이 사업은 정보기술(IT), 환경기술(ET), 로봇기술(RT)을 융합한 기술로 국내 상수도 관망 관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에는 금속탐지기나 누수 음파탐지기 등을 이용해 상수도 관망을 조사해 단순 경과 연수(21년 이상) 자료를 토대로 관망 교체를 결정했다. 하지만 로봇을 이용할 경우 지하에 매설돼 조사하지 못했던 관 내부의 노후 상태나 누수지점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로봇은 소구경용과 중구경용으로 위치탐사·누수탐사·세척/갱생용 등 5개 종류 12대가 제작되고 있다.
특히 상수관이 매설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보수공사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도 로봇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전국 상수도 관망의 총연장은 15만 4435㎞에 이른다. 이 가운데 21년 이상된 노후 상수도 관망은 3만 5635㎞(23.1%)인 것으로 추정된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환경부는 5일 연구사업의 하나로 개발된 상수관망 관리 로봇을 올해 태백시 등 현장에 시범 적용한 뒤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을 위해 환경부는 지식경제부와 로봇 시범사업 양해각서(MOU)를 교환했으며, 향후 3년간 70억원을 투입한다.
국내 최초로 상수도 관망 분야에 로봇 시스템을 접목하는 이 사업은 정보기술(IT), 환경기술(ET), 로봇기술(RT)을 융합한 기술로 국내 상수도 관망 관리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에는 금속탐지기나 누수 음파탐지기 등을 이용해 상수도 관망을 조사해 단순 경과 연수(21년 이상) 자료를 토대로 관망 교체를 결정했다. 하지만 로봇을 이용할 경우 지하에 매설돼 조사하지 못했던 관 내부의 노후 상태나 누수지점 등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로봇은 소구경용과 중구경용으로 위치탐사·누수탐사·세척/갱생용 등 5개 종류 12대가 제작되고 있다.
특히 상수관이 매설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보수공사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도 로봇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전국 상수도 관망의 총연장은 15만 4435㎞에 이른다. 이 가운데 21년 이상된 노후 상수도 관망은 3만 5635㎞(23.1%)인 것으로 추정된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1-07-0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