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읽기 전도사’ 한남대 김형태 총장
정부가 385억원을 들여 신문을 활용한 교육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대전에는 신문읽기 운동을 하는 대학 총장이 있다. 바로 한남대 김형태(64) 총장이다. 그는 ‘신문읽기 전도사’를 자처하고 있다. 김 총장은 28일 “국민이 신문을 안 읽으면 망국의 길로 간다.”면서 “대통령도 나서서 신문읽기를 권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김형태 한남대 총장이 28일 자신이 만든 신문 스크랩을 들고 신문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소설 ‘인간시장’의 작가 김홍신씨가 충남 논산의 대건고 1년 선배다. 그와 함께 교지를 만들며 글에서 깊은 영감과 배움을 얻었다. 당시 책이 많이 없어서 각 대학 신문을 모아 읽었고, 한남대 학보사 기자로 3년 활동도 했다.
→왜 신문을 읽어야 하나.
-모든 사람이 난로에 손을 데는 경험을 하고 나서야 난로에 손을 대면 안 된다는 사실을 안다면 농담이지만, 사람 다 죽는다. 그래서 간접 경험을 적절하게 제공하는 신문이 필요하다. 요즘 학생들은 편지나 일기도 안 쓰고, 휴대전화 문자와 같은 토막글만 많이 쓴다. 신문을 읽으면 자신의 깊은 생각이나 느낌을 종합적으로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신문은 다양한 지식을 흡수하고 세상의 흐름을 따라가는 채널이기도 하다.
→하루 중 언제 신문을 읽는가.
-새벽 4시 조금 넘어 일어나 신문을 읽는다. 뒷면부터 앞면까지 거꾸로 읽는다. 두꺼운 노트를 펴서 메모하면서 1시간 넘게 읽는다. 퇴근할 때 다섯부 정도 더 들고 와 자정까지 본다. 하루를 신문으로 시작해 신문으로 끝낸다고 보면 된다. 사설과 칼럼을 꼼꼼히 읽는다. 사회, 문화, 심층기획 등 기사도 정독한다. TV는 뉴스와 가요무대만 본다.
→신문 내용을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활용하나.
-내 강의는 무조건 신문에서 본 얘기로 시작한다. 시대의 이슈를 던져 청중을 사로잡는다. 그래야 청중이 기대하고 공감대가 만들어진다. 서양에서 주로 농담으로 강의를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내가 어릴적 부터 만든 100권이 넘는 스크랩북이 내 기고나 강연의 자양분이다.
→가족들도 신문을 많이 보는가.
-저녁에 퇴근하면 가위를 들고 필요한 기사를 오려서 두꺼운 노트에 붙이고 내 생각과 코멘트를 적어 놓는다. 서재에는 내 키만큼 쌓아 놓은 신문더미가 3개나 된다. 신문 읽기와 스크랩을 하니까 화제가 궁하지 않게 된다. 스크랩을 할 때에는 어린 손자가 가위를 들고 온다.
→기억에 남는 기사가 있다면.
-이어령씨의 칼럼은 고도의 지성을 제공하고 있다. 속상한 기사보다 휴먼스토리와 선한 이야기에 자극과 감동을 받는다.
→학교에서도 신문읽기 운동을 하는가.
-올 신학기부터 국내 대학에서는 처음으로 시행하고 있다. 캠퍼스 곳곳에 신문열람대를 설치, 학생들이 언제든지 신문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신문읽기 강좌도 개설해 그 중요성도 가르치고 있다. 이 강좌는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에 선정돼 강사비 등을 지원받고 있다.
→학생들에게 해 주고 싶은 말은.
-인터넷과 휴대전화에 빠져 논리적인 사고가 안 되는 학생이 너무 많다. 이들에게 돈 덜 들이고 좋은 글을 많이 읽을 수 있는 신문읽기를 권하고 싶다. 두툼한 노트를 한권 사서 매일 하나씩 신문 기사나 칼럼, 사설 등을 오려서 붙이고 세번을 읽어라. 그리고 대안이나 아이디어를 코멘트로 남겨라. 이렇게 한 학생과 하지 않은 학생은 나중에 큰 격차를 보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했는데도 취업이 안 된다면 나를 찾아오라.
→요즘 신문을 어떻게 평가하나.
-백화점처럼 없는 게 없다. 정치적 방향은 다소 불편하지만 국민정서를 잘 반영하고 있는 편이다. 다만 오늘의 운세 등과 같은 것이 아니라, 고급스럽고 건실한 기사로 (여론을) 리드하는 것이 좋다. 균형적인 시각을 가지려면 찬반의 시각을 의식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피해야 한다.
글 사진 대전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1-04-29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