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포탕 조심”…낙지 먹물·내장에 중금속

“연포탕 조심”…낙지 먹물·내장에 중금속

입력 2010-09-13 00:00
수정 2010-09-13 14: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몸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연포탕 등으로 즐겨 먹는 낙지나 문어의 머리(몸통) 속 먹물과 내장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중금속이 검출돼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달 시내 주요 유통업체에서 팔리는 연체류 14건과 생선 14건을 수거해 머리와 내장 내 중금속 함량을 검사한 결과 낙지와 문어 머리에서 카드뮴이 기준치인 ㎏당 2.0㎎를 초과해 검출됐다고 13일 밝혔다.

 카드뮴은 체내에 쌓이면 등뼈나 손발,관절이 아프고 뼈가 약해져 잘 부러지는 이타이이타이병이나 전립선암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낙지 머리는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중국산 냉동품에서 1㎏당 29.3㎎의 카드뮴이 나오는 등 수입산 6건과 국산 3건 모두에서 기준치 이상의 카드뮴이 검출됐다.

 문어 머리도 가락시장에서 수거된 국산 생물의 카드뮴 검출량이 1㎏당 31.2㎎에 달하는 등 국산 4건 모두 카드뮴 함량이 기준치를 넘었다.

 다만 주꾸미 머리 1건과 명태,생태,대구의 내장 및 알 14건은 카드뮴이 기준치보다 적게 들어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동안 낙지 머리와 생선 내장은 안전검사에서 제외됐지만 연포탕과 내장탕 등을 통해 즐겨먹는 시민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 검사를 했다”며 “이번 결과를 식약청 등에 통보해 중금속이 많이 들어있는 연체류를 안전하게 먹는 방법 등을 알리고 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낙지와 문어 등을 요리해 먹을 때는 머릿 속 먹물과 내장을 반드시 제거하고 음식점에서 먹을 때도 가급적 먹물과 내장을 없앴는지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