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로 홍역을 치른 남산이 이번에는 ‘참나무 시들음병’에 노출돼 확산이 우려된다. 참나무류는 남산의 수목 중 가장 많은 36㏊에 걸쳐 심어져 있다.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 8종류가 있다.
서울시는 이달 초 남산에서 한번 걸리면 결국 말라 죽는 ‘참나무 시들음병’이 발생해 긴급 방제한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이달 초 남산공원 N타워 주변의 신갈나무림에서 감염 나무 560그루를 발견한 뒤, 산림청과 지난 23∼25일 남산 전역에서 실태 조사를 벌였다.
참나무 시들음병은 소나무 재선충병과 마찬가지로 확실한 치료약이 없다는 점에서 확산이 우려된다. 특히 한번 걸리면 서서히 말라죽는 데다 매개충이 톱밥을 배출하기 전까지 감염 확인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남산 참나무 시들음병의 전체 감염 규모도 매개충이 활동하는 내년 8월에서야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다.
김현팔 시 녹지관리팀장은 “현재는 매개충이 잠복기여서 전체 감염 규모를 확인할 수 없다.”면서 “겨울 날씨에 따라 매개충이 얼어죽을 수 있기 때문에 (참나무 시들음병) 확산이 안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시는 우선 1단계로 감염 나무에 약제 수간주사를 놓아 나무 속의 매개충을 없애고, 성충이 밖으로 나오는 내년 5∼6월 약제를 살포해 참나무 시들음병의 확산 방지에 긴급히 나서기로 했다.
김 팀장은 “남산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해 수목 벌채를 최소화하고, 수간 주사, 도포망 설치, 약제 살포 등 종합적인 방제 수단을 동원할 계획”이라면서 면서 “특히 국립산림과학원이 개발한 특수 도포망이 참나무 시들음병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나무 시들음병은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2004년 18개 시·군·구에서 발생했고, 지난해에는 61개 시·군·구로 확산됐다.
참나무 시들음병은 참나무류에 매개충(‘레펠리아균’의 균낭을 지닌 광릉긴나무좀)이 들어가 수분과 양분 이동통로를 막아 말라죽게 하는 병이다. 아직까지 매개충에 대한 확실한 방제 방법이 개발되지 않았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참나무 시들음병은 소나무 재선충병과 마찬가지로 확실한 치료약이 없다는 점에서 확산이 우려된다. 특히 한번 걸리면 서서히 말라죽는 데다 매개충이 톱밥을 배출하기 전까지 감염 확인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남산 참나무 시들음병의 전체 감염 규모도 매개충이 활동하는 내년 8월에서야 정확한 확인이 가능하다.
김현팔 시 녹지관리팀장은 “현재는 매개충이 잠복기여서 전체 감염 규모를 확인할 수 없다.”면서 “겨울 날씨에 따라 매개충이 얼어죽을 수 있기 때문에 (참나무 시들음병) 확산이 안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시는 우선 1단계로 감염 나무에 약제 수간주사를 놓아 나무 속의 매개충을 없애고, 성충이 밖으로 나오는 내년 5∼6월 약제를 살포해 참나무 시들음병의 확산 방지에 긴급히 나서기로 했다.
김 팀장은 “남산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해 수목 벌채를 최소화하고, 수간 주사, 도포망 설치, 약제 살포 등 종합적인 방제 수단을 동원할 계획”이라면서 면서 “특히 국립산림과학원이 개발한 특수 도포망이 참나무 시들음병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참나무 시들음병은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다.2004년 18개 시·군·구에서 발생했고, 지난해에는 61개 시·군·구로 확산됐다.
참나무 시들음병은 참나무류에 매개충(‘레펠리아균’의 균낭을 지닌 광릉긴나무좀)이 들어가 수분과 양분 이동통로를 막아 말라죽게 하는 병이다. 아직까지 매개충에 대한 확실한 방제 방법이 개발되지 않았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8-09-27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