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김정일 동상에 헌화하는 북한 주민들. 2024.6.4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초상화가 교내 혁명사적관 외벽에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초상화와 나란히 걸려 있다. 2024.5.22 조선중앙TV 화면 연합뉴스
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지난 2일 “도당에서 도내의 모든 기관, 기업소들에 (김정은 사망 관련) 애도 지시를 하달했다”며 “김일성 사망 30주기를 맞는 애도 주간이 하루로 단축된다는 지시였다”고 밝혔다.
북한은 1994년 김일성 사망 직후 애도 기간을 3년으로 정한 뒤 점차 줄여 2013년부터는 애도 기간을 7일로 정하고 김일성을 기렸다. 이를 2022년부터 5일로 줄인 뒤 올해 들어 단 하루만 애도일로 정한 것으로 보인다는 게 RFA 측 설명이다. 올해는 김일성 사망 30주기다.
북한 당국은 그러면서도 애도 당일 김일성 동상 헌화와 혁명 역사 사적관 참관 지시는 내렸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김일성, 김정일의 혁명 역사를 학습하면서 혁명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세습 지도자(김정은)에게 충성하라는 의도일 것”이라고 RFA에 말했다.
양강도의 한 주민 소식통은 “애도 분위기를 아주 없앨 수 없어 겨우 유지하는 것으로 짐작된다”고 전했다.
지난달 29일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 2일 차 회의에서 북한 간부들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단독으로 새겨진 초상휘장(붉은 동그라미)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 2024.6.30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지난달 30일에는 북한 공식 석상에서 김일성과 김정일의 초상화가 들어간 초상휘장이 아닌,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얼굴이 단독으로 새겨진 초상휘장이 처음 포착되기도 했다.
초상휘장은 북한 일반 주민부터 최고위층까지 가슴에 반드시 부착해야 하는 대표적인 김씨 일가 우상물이다.
김일성 초상휘장은 1970년 11월 김정일이 노동당 5차 대회에서 발기하면서 본격 제작돼 지급되기 시작했다. 김일성 초상휘장은 1992년 2월 16일 그의 50회 생일을 계기로 만수대창작사에서 만들기 시작했지만, 김정일의 반대로 일부 간부만 달다가 2000년대 들어 일반 주민도 달고 다니기 시작했다.
김정일 사망 이후에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초상화가 함께 들어간 초상휘장이 주민들에게 대량 보급돼 이를 착용하고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0차 전원회의 2일 차인 지난달 29일 회의 사진을 보면 참석 간부 전원이 김정은 얼굴이 그려진 초상휘장을 가슴에 달고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