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문제, 우리 급에서는 되지 않는다. 우리 당 총비 동지(김일성 전 주석)와 박 대통령(박정희 전 대통령) 간 정치 협상을 열어야 한다.”
김일성 북한 주석의 동생인 김영주 노동당 조직지도부장이 1972년 5월 3일 극비리에 평양을 방문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과의 만남에서 이처럼 정상회담을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 통일부가 6일 공개한 1678쪽 분량의 남북대화 사료집 제7·8권에는 분단 이후 최초의 남북 당국 간 합의인 7·4 공동성명의 막전막후가 담겼다.
북측은 박 대통령의 복심인 이 부장을 만나 “정치 협상을 한다는 것이 전체 우리 동지에게 알려진다면 긴장 완화가 될 것”이라며 정상회담을 밀어붙였다. 그러나 이 부장은 “처음부터 김 수상(김일성)과 박 대통령이 회담을 하면 잘못될 경우 실망이 크게 된다”며 단계적 접근을 제시했다.
또 북측은 1·21 청와대 습격 사건에 대해 “군부에 있는 맹동분자들이 조직했다”며 “앞으로는 절대 없다”고 단언했다. 이후 양측은 이 부장의 김 주석 면담, 박 대통령과 박성철 북한 제2부수상의 면담을 거쳐 7·4 공동성명을 발표한다. 하지만 김 주석과 박 대통령의 회담은 끝내 성사되지 않았다.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이 부장과 김 주석의 면담, 박 대통령과 박 부수상의 면담 내용은 회담문서 공개심의회 검토 결과 비공개로 결정됐다. 비공개된 대목은 통일부가 3년 뒤 다시 공개 여부를 심의할 예정이다. 다만 이 부장이 7·4 공동성명 결과로 열린 남북조절위원회 관련 회의에서 언급한 것을 바탕으로 김 주석 발언의 일부 대목이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이 부장은 1972년 10월 회의에서 “나도 지난번 김일성 수상을 뵈었을 때 수상께서는 분명히 ‘다시는 6·25와 같은 전쟁은 없을 터이니까 그렇게 박 대통령에게 전하시오’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또 이 부장은 한 달 뒤 “지난번 수상께서도 좌경 맹동분자들의 책동을 나무란 일을 나는 기억하고 있다”고 해 김 주석이 1·21 사태에 대해 사과한 것으로 보인다.
사료에는 북측이 공동성명 발표 뒤인 1972년 7월 실무접촉에서 “우리가 보도나 라디오를 통해 보면 그쪽에서 김종필(JP) 총리가 가장 반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공동성명을 무력화하는 쪽으로 이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한 대목도 담겨 있다. 실제 JP는 회고록에서 7·4 남북공동성명 후 이 부장이 “북한이 우리와 대화를 하겠다고 하니까 국가보안법을 없애야겠습니다”라고 제안하기에 “그런 터무니없는 소리 마시오. 당신이 북에 또 갈 일은 없을 거요”라고 했다고 썼다.
통일부의 남북회담문서 공개는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남북대화 사료집 제2~6권을 공개한 것에 이어 세 번째다. 남북회담문서 원문은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에서 열람할 수 있다.
김일성 북한 주석의 동생인 김영주 노동당 조직지도부장이 1972년 5월 3일 극비리에 평양을 방문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과의 만남에서 이처럼 정상회담을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 통일부가 6일 공개한 1678쪽 분량의 남북대화 사료집 제7·8권에는 분단 이후 최초의 남북 당국 간 합의인 7·4 공동성명의 막전막후가 담겼다.
북측은 박 대통령의 복심인 이 부장을 만나 “정치 협상을 한다는 것이 전체 우리 동지에게 알려진다면 긴장 완화가 될 것”이라며 정상회담을 밀어붙였다. 그러나 이 부장은 “처음부터 김 수상(김일성)과 박 대통령이 회담을 하면 잘못될 경우 실망이 크게 된다”며 단계적 접근을 제시했다.
분단 이후 최초의 남북 당국 간 합의인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을 도출하기 위한 비밀 접촉 과정을 보여주는 남북회담 사료가 공개됐다. 사진은 통일부가 이날 공개한 남북대화 사료집 7권 내 남북 회담 당시의 사진들.
연합뉴스
연합뉴스
가장 큰 관심을 모았던 이 부장과 김 주석의 면담, 박 대통령과 박 부수상의 면담 내용은 회담문서 공개심의회 검토 결과 비공개로 결정됐다. 비공개된 대목은 통일부가 3년 뒤 다시 공개 여부를 심의할 예정이다. 다만 이 부장이 7·4 공동성명 결과로 열린 남북조절위원회 관련 회의에서 언급한 것을 바탕으로 김 주석 발언의 일부 대목이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이 부장은 1972년 10월 회의에서 “나도 지난번 김일성 수상을 뵈었을 때 수상께서는 분명히 ‘다시는 6·25와 같은 전쟁은 없을 터이니까 그렇게 박 대통령에게 전하시오’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또 이 부장은 한 달 뒤 “지난번 수상께서도 좌경 맹동분자들의 책동을 나무란 일을 나는 기억하고 있다”고 해 김 주석이 1·21 사태에 대해 사과한 것으로 보인다.
사료에는 북측이 공동성명 발표 뒤인 1972년 7월 실무접촉에서 “우리가 보도나 라디오를 통해 보면 그쪽에서 김종필(JP) 총리가 가장 반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공동성명을 무력화하는 쪽으로 이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한 대목도 담겨 있다. 실제 JP는 회고록에서 7·4 남북공동성명 후 이 부장이 “북한이 우리와 대화를 하겠다고 하니까 국가보안법을 없애야겠습니다”라고 제안하기에 “그런 터무니없는 소리 마시오. 당신이 북에 또 갈 일은 없을 거요”라고 했다고 썼다.
통일부의 남북회담문서 공개는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남북대화 사료집 제2~6권을 공개한 것에 이어 세 번째다. 남북회담문서 원문은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에서 열람할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