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권 재진입·다탄두 기술력은 입증 못 했다

대기권 재진입·다탄두 기술력은 입증 못 했다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22-11-20 22:08
수정 2022-11-21 02: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北 ‘ICBM 부대’ 첫 언급

정상 발사 땐 1만 5000㎞ 비행
美 전역 사정권, 정확도엔 의문
이미지 확대
북한이 지난 18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 아래 평양국제비행장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을 동해상으로 발사하는 영상을 조선중앙TV가 19일 보도했다. 조선중앙TV·뉴시스
북한이 지난 18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 아래 평양국제비행장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을 동해상으로 발사하는 영상을 조선중앙TV가 19일 보도했다.
조선중앙TV·뉴시스
북한이 지난 1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부대’를 처음 공개 언급한 가운데 ICBM 화성17형의 대기권 재진입, 타단두 탑재 능력은 검증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이 미국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과시했지만 실전 배치를 위한 정확도는 아직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군에 따르면 북한이 18일 평양 순안 일대에서 발사한 화성17형은 정상 각도(30∼45도)보다 높이 발사됐으며, 정상 발사 시 최대 1만 5000㎞까지 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됐다. 화성17형은 앞서 지난 3일 발사 때는 2단 분리까지 성공했고 이번에 사거리까지 입증된 셈이다. 그러나 대기권 재진입 능력 입증은 과제로 남았다. 대기권 밖으로 나갔던 ICBM이 재진입하는 과정에선 섭씨 6000~7000도에 이르는 고열·고압을 견디며 목표 지점까지 정확히 날아야 한다. 그동안 북한은 고각으로 발사 각도를 높여 비행거리를 줄이는 방식으로 시험발사를 해 왔기 때문에 대기권 재진입 시험에는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화성17형이 다탄두 기술 확보를 목표로 개발돼 온 점 역시 아직은 물음표다. 북한이 다탄두 개발을 노리는 것은 예컨대 미국 워싱턴·뉴욕 등 여러 지역을 동시 타격하면서 상대 측 요격을 회피할 수도 있기 때문인데, 여기에는 탄두 보호·정밀제어 유도기술 등 후추진체(PBV) 기술 확보가 필수적이다. 고각으로 쏜 탄두는 재진입 시 수직으로 떨어지는 반면 정상 각도로 발사된 탄두는 대기권으로 비스듬하게 진입하며 장시간 비행해 많은 열량을 받기 때문이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이번에는 고각 발사였으므로 재진입 상황이 정확하게 보이지 않았을 것”이라며 “북한이 ICBM을 계속 발사해 신뢰성을 확보한 다음 배치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탄두 탑재 시 무게만큼 사거리가 줄어들 수밖에 없어 미 본토 타격이 힘들어진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조선중앙통신은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화성17형 발사 현지 지도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부대들과 모든 전술핵운용부대들에서는 임의의 정황·시각에도 전략적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의 ICBM 부대를 공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우리 군 역시 부대 소속·명칭을 공식 확인해 준 적은 없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이 올해 보도하지 않은 6차례의 발사 중 2월 27일, 3월 5일은 ‘정찰위성 개발용’ 실험이라고 밝히는 등 ICBM과 정찰위성 개발의 투 트랙으로 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2022-11-2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