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 당시 군 복무 유승민 “‘서울의 봄’ 봤다… 충격 기억 생생”

12·12 당시 군 복무 유승민 “‘서울의 봄’ 봤다… 충격 기억 생생”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12-04 09:54
수정 2023-12-04 09: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서울의 봄 스틸 사진
서울의 봄 스틸 사진
12·12 당시 군 복무했던 유승민 전 의원이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이 주도한 군사쿠데타로 희생된 사병들에 대한 명예회복을 요구했다.

유 전 의원은 4일 페이스북에 “영화 ‘서울의 봄’을 봤다”며 “영화관을 찾는 마음이 무거웠다. 44년 전 1979년 12월 12일 밤부터 다음날 새벽까지 현장에서 수도경비사령부 33경비단 일병으로서 현장에서 겪었던 충격적인 기억들이 지금도 가슴 속에 생생하게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가 복무한 수도경비사령부 33경비단은 당시 격랑의 소용돌이 한복판에 있던 부대다. 경비단장 김진영 대령은 반란에 가담한 핵심 인사였다. 유 전 의원은 “지휘관인 33경비단장은 반란군에 가담해 자기 혼자 청와대 30경비단에 가 있었고, 필동의 33경비단 병력들은 부단장 지휘하에 장태완 사령관의 명령에 따랐다”면서 “그날 밤, 평소 병사들 앞에서 근엄하게 군기를 잡고 군인정신을 외치던 장교들이 편을 갈라 서로 총부리를 겨눈 채 추악한 하극상을 보이고 어느 줄에 서야 살아남을지를 계산하느라 우왕좌왕하던 모습을 고스란히 봐야 했다”고 떠올렸다.

유 전 의원은 당시 사태를 계기로 “정치군인에 대한 환멸”을 느꼈다고 한다. 급박하게 상황이 진행된 끝에 결국 쿠데타가 성공했고 유 전 의원은 “그 이듬해 5월 서울의 봄과 광주의 봄은 그렇게 어긋난 길로 들어서게 된 것”이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유승민 전 의원 페이스북
유승민 전 의원 페이스북
유 전 의원은 2012년 국회 국방위원장이던 시절 마주했던 ‘故 김오랑 중령 무공훈장 추서 및 추모비 건립 촉구 결의안’을 떠올렸다. 김오랑 중령은 12·12 때 반란군에 맞서 전세가 기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사령관을 유일하게 지키려다가 교전 중 전사한 인물이다. 유 전 의원은 “박근혜 정부 국방부와 일부 국방위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3년 4월 국회 국방위와 본회의에서 마침내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그 이듬해에 보국훈장이 추서되어 김오랑 그분의 명예를 조금이라도 지켜드렸던 것은 저에게는 소중한 보람이었다”고 했다.

“한 가지 아쉬운 게 있다”고 말한 유 전 의원은 “영화에서도, 현실에서도 44년 전 그날 밤 전사한 故 정선엽 병장, 故 박윤관 일병의 명예를 지켜드리는 일”을 언급했다. 당시 국방부 헌병대 병장으로 제대를 3개월 앞두고 있던 정선엽 병장은 1979년 12월 13일 새벽 국방부 점령을 위해 진입한 제1공수특전여단과 맞서다 총탄을 맞고 사망했다. 박윤관 일병은 수경사 33헌병대 소속으로 신군부 측인 상관의 명령에 따라 육군참모총장 공관 초소를 점령한 뒤 탈환에 나선 해병대가 쏜 총에 맞아 1979년 12월 13일 새벽 순직했다.

상관의 명령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사병들이었던 두 사람에 대한 추모비 건립, 훈장추서 요구가 있었지만 번번이 묵살됐다. 유 전 의원은 “적과의 교전이 아니라 정치군인들의 쿠데타 속에서 명령을 따르다 전사한 이 병사들의 명예를 지켜드리는 일이 아직 남아 있다”면서 “영화 ‘서울의 봄’의 날갯짓이 정 병장과 박 일병의 명예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