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처형 후 첫 도발 위협 전통문 왜
북한이 ‘최고 존엄’에 대한 모독이 반복될 경우 대남 보복 행동에 나서겠다는 협박 통지문을 지난 19일 서해 군 통신선을 통해 발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도 “도발한다면 단호히 응징하겠다”는 내용의 경고 전통문을 보냈다. 북한의 위협 수위나 방식은 새로울 것이 없지만 ‘장성택 처형’ 이후 첫 도발 위협이란 점에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전방 부대 찾은 정 총리, 장병들 격려
정홍원(왼쪽) 국무총리가 20일 경기 연천군 육군 5사단의 전방 초소를 방문해 장병들을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북한이 언급한 ‘최고 존엄’ 모독이란 지난 17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2주기를 맞아 서울 시내에서 5개 보수단체가 벌인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화형식으로 추정된다. 군 당국은 현재 북한군의 특이 동향은 없지만 대남 군사 도발의 명분 축적을 위해 협박 통지문을 발송했을 수도 있다고 판단해 한·미 연합 감시 자산을 통해 동향을 정밀 감시하고 있다.
북한의 협박 전통문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23일에도 연평도 포격 도발 3주년을 맞아 우리 군이 서북도서에서 사격 훈련을 계획하자 “영해에 포탄이 한 발이라도 떨어지면 남한은 불바다가 될 것”이라고 전통문을 보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북한이 그동안 성명, 담화에서 밝혀 온 것과 특별한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단기적으로 북한의 무력 도발 가능성은 낮지만 장성택의 숙청으로 불안정 요인은 증가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한 정권으로선 내부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적절하게 외부적 긴장을 유지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중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쓰는 북한이 무력 도발에 나설 가능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강경파를 견제할 수 있는 장성택 세력의 부재로 돌발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은 전보다 높아졌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강경파들이 최고 존엄에 대한 모독을 예전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만큼 불필요하게 자극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이 과거부터 저강도 도발을 고강도 도발로 이어 가는 수순을 반복해 왔다”면서 “남북 간 군부 대립과 대결이 심화되면 우발적 사건이 국지전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고 밝혔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12-2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