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韓 책임 명시 없이…두루뭉술 피해 간 與 총선백서

尹·韓 책임 명시 없이…두루뭉술 피해 간 與 총선백서

조중헌 기자
조중헌 기자
입력 2024-10-28 18:38
수정 2024-10-28 18: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참패 원인 ‘불안한 당정관계’ 표현
이종섭·대파 논란 등 이슈들 열거
韓 “평가는 국민이 하는 것” 일축

이미지 확대
한동훈(오른쪽) 국민의힘 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한동훈(오른쪽) 국민의힘 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안주영 전문기자


국민의힘이 4·10 총선의 패인을 분석한 총선백서를 총선 201일 만에 공개한 가운데, 참패 원인으로 불안정한 당정 관계와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 제기, 미완성의 ‘시스템 공천’을 지목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당대표의 총선 참패 책임론을 얼마나 명확하게 규명할지가 세간의 관심사였지만 ‘불안정한 당정 관계’라는 두루뭉술한 표현으로 피해 갔다는 평가가 나왔다.

국민의힘 총선백서특별위원회가 28일 공개한 267쪽 분량의 백서 ‘마지막 기회’에는 총선 참패의 이유 중 첫 번째로 불안정한 당정 관계로 인한 국민적 신뢰 추락이 담겼다. 백서는 “당은 대립각을 세우기보다 정부의 기조를 따라가는 듯한 모습을 보여 주는 등 당정 사이에 건강하고 생산적인 긴장감이 조성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종섭·황상무 이슈(8.90점), 대파 논란(8.75점), 김건희 여사 이슈(8.51점), 해병대 채 상병 이슈(8.24점), 의대 정원 확대(8.09점) 등의 순으로 당이 주요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며 자체 설문조사 점수를 곁들여 지적했고, 해당 항목에서 윤 대통령이 직접적으로 명시되지 않았다.

백서는 또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과 선명한 대립각을 세우지 못했다며 ‘한동훈 선거대책위원회’의 책임론을 거론했다. 백서는 “이번 총선은 ‘민생 실종’ 선거로 치러졌다”면서 “야당은 정권 심판론을 일관되게 밀어붙인 데 반해 우리는 운동권 심판, 이·조 심판, 읍소전략으로 변하는 등 일관성이 없었다. 이·조 심판론은 집권여당의 선거전략으로 적절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며, 오히려 선거를 정권 심판론에 가두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했다.

이 외에 백서는 “공천관리위원회의 비례대표 후보 면접 최종 심사결과 자료가 국민의미래 지도부 및 사무처 실무진과 공유되지 않았고 현재도 남아 있지 않다”며 “이는 심각한 절차적 하자로 시스템 공천이 이뤄졌는지 의문을 초래한다”고 했다. 승부수 전략 부재, 효과적 홍보 콘텐츠 부재, 당의 철학과 비전의 부재, 제 기능을 못한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원 등도 패배 이유로 꼽혔다.

6대 개혁 과제로는 ▲당 정체성 확립 및 대중적 지지기반 공고화 ▲미래지향형·소통형 조직 구조로 개편 ▲빅데이터 기반 정책 개발 및 홍보 역량 강화 ▲공천 시스템 조기 구축 및 투명성 강화 ▲취약지역 및 청년·당직자 배려 기준 구체화 ▲비전을 가진 싱크탱크, 미래를 위한 준비 등이 거론됐다. 한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평가는 백서가 하는 게 아니라 국민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