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왼쪽)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2일 오후 춘추관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강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G7 이외에 4개국 한국과 러시아, 호주, 인도 등 4개국의 참여 확대 의사를 밝힌 뒤 가장 먼저 전화를 건 곳이 문 대통령이었다. 한국의 발표로 G11 또는 G12 확대를 공식화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를 받고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라고 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를 G11이나 G12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G7 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며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한미 정상은 4개국 외 브라질을 포함 시키는 G12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 정상 간의 통화는 약 15분간 이뤄졌다.
청와대 “일회용, 일시적 성격 아니다”강 대변인은 “추진되는 일정대로 문 대통령의 방미가 성사되면 이는 G7의 옵서버 자격으로 가는 일회용, 일시적 성격이 아니다”며 “G11 또는 G12라는 새로운 국제체제의 정식 멤버가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세계질서를 이끄는 리더국 중 하나가 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 “G20에 가입한 것도 외교적 경사라는 평가를 받았듯 G11 또는 G12 멤버가 될 경우 우리나라의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회의가 미국의 중국 견제수단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일각에서는 한·중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는 한국의 G7 확대 정상회의 참석으로 중국이 반발하지 않을 것이란 입장이다.
문 대통령은 정상 통화 전 트럼프 대통령의 G7 확대 정상회의 초청에 대해 전달받은 뒤 “조금도 회피할 필요가 없다. 환영할 일”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G7에 초대한 것에 대해 “아시아 유일의 G7 정상회의 참가국이라는 일본의 의미가 옅어질 수 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산케이 신문도 한 외무성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우선은 한국을 아웃리치(초청국)로 하자는 것 아닌가 한다”고 관측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