非고시 출신 장관후보자에 ‘흙수저’ 출신 경제수장까지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발표한 일부 내각 인선을 두고 ‘파격적’이라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시 출신의 고위 관료들이나 주류에 속했던 학자들이 입각하던 과거와는 달리 지금까지 발표된 상당수 내각 인사들의 출신과 성장배경, 경력 등이 매우 이례적이기 때문이다.
이날 발표된 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의 경우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장관으로 임명되면 ‘유리천장’을 뚫고 외교부 역사상 첫 여성 장관이 된다.
유엔 사무총장 특보로 임명되는 등 실력도 갖추고 있지만 외무고시를 거치지 않은 채 외교부 내 주류와는 거리가 멀었던 강 후보자가 장관후보자로 지명된 것 자체가 파격으로 받아들여진다.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인 김동연 아주대 총장은 ‘고졸신화’를 써내려 간 입지전적 인물이다.
덕수상고 재학 중 17살에 청계천 판잣집에 살던 가족을 부양하러 은행에 취직한 뒤 25살에 고시에 합격한 김 총장은 ‘엘리트 코스’를 걸어온 대개의 경제수장과는 확연히 다른 부류의 인물이다.
청와대 정책실장에 내정된 장하성 고려대 경영학과 교수는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 활동을 통해 재벌개혁을 주장해 온 대표적인 재야의 학자로, 역시 주류와는 거리가 멀다.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로 언론사 사주 출신인 홍석현 한국신문협회 고문을 임명한 것도 이례적이다.
‘파격’의 연속이라 할 수 있는 일련의 인사에는 관료사회를 과감하게 개혁하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성별이나 출신과 관계없이 능력만 인정받는다면 얼마든지 그 인재를 등용하겠다는 것으로서, 일부 대학 중심의 학연이나 ‘권력에 줄서기’ 관행을 타파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새 정부는 이 과정에서 특정 지역이나 특정 인맥·학벌, 남성 편중 인사가 자연스럽게 해소돼 ‘탕평’이라는 인사 원칙도 지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다.
특히 지역적으로는 앞선 정권에서 대구·경북과 부산·경남 등 영남권 출신에 쏠린 것과 달리 새 정부 출범 후에는 호남·충청 출신이 약진하는 양상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19일 헌법재판소장에 전북 출신인 김이수 현 헌재소장 직무대행을 지명하면서 “지역을 떠나 적임자라고 판단했고 지역적으로 탕평의 효과가 난다면 더더욱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21일에 발표된 장관후보자와 청와대 정책실장·안보실장도 모두 비영남권 인사다.
새 정부 들어 지금까지 발표된 주요 인사 중 부산 출신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과 경북 영덕 출신의 김수현 사회수석, 경북 구미 출신의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정도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서울과 호남, 충청 출신 인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