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계기판의 주유량을 눈금이 아닌 숫자 표시를 의무화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정(경기 파주을)은 2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 전체회의에서 “주유량 측정 기술이 오래 전부터 개발되어 특허출원됐음에도 국내 시판되고 있는 전 차종에서 주유량을 수치로 표시하지 않고 있다”면서 “자동차 운전자들에게 실질연비가 공개되는 것을 꺼려하는 업계의 의도된 침묵이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 “자동차 기술은 눈부시게 발전했는데, 아직도 우리는 ‘바늘(계기침)’로 대충 주유량을 확인해야 하는 전근대적인 시대를 살고 있다”며 “미량이나마 남아있는 연료로는 왠지 불안해서 조급해지는 마음에 다시 주유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확히 얼마가 연료통에 주입되었는지 알기 어려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 차량이 채택하고 있는 주행가능거리 표시는 남은 연료량을 파악해 운전자의 잠정적 운행 속도를 곱한 수치 인만큼, 당연히 주유량을 표시해 주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주형환 산자부 장관은 “매우 좋은 지적이라고 생각한다. 해외 상황도 보고, 업계 의견과 전문가 의견도 들어보고 조치를 취해 보겠다”고 답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더불어민주당 박정(경기 파주을)은 2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 전체회의에서 “주유량 측정 기술이 오래 전부터 개발되어 특허출원됐음에도 국내 시판되고 있는 전 차종에서 주유량을 수치로 표시하지 않고 있다”면서 “자동차 운전자들에게 실질연비가 공개되는 것을 꺼려하는 업계의 의도된 침묵이 있는 것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이어 “자동차 기술은 눈부시게 발전했는데, 아직도 우리는 ‘바늘(계기침)’로 대충 주유량을 확인해야 하는 전근대적인 시대를 살고 있다”며 “미량이나마 남아있는 연료로는 왠지 불안해서 조급해지는 마음에 다시 주유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확히 얼마가 연료통에 주입되었는지 알기 어려운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 차량이 채택하고 있는 주행가능거리 표시는 남은 연료량을 파악해 운전자의 잠정적 운행 속도를 곱한 수치 인만큼, 당연히 주유량을 표시해 주는 것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주형환 산자부 장관은 “매우 좋은 지적이라고 생각한다. 해외 상황도 보고, 업계 의견과 전문가 의견도 들어보고 조치를 취해 보겠다”고 답했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