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파 수장 아닌 대권주자 이미지 굳히기 포석인듯
4·29 재보선 참패를 계기로 촉발된 새정치민주연합의 내분이 점입가경으로 치닫는 가운데 야권의 잠재적인 대권주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행보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안 전 대표는 당내 비노(비노무현) 진영의 한 축을 이루고 있지만 다른 비노계 수장들과는 다소 차별화된 행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안 전 대표는 김한길 전 대표와 작년 3월 새정치연합을 창당하고 공동대표를 맡았으며, 지난해 7·30 재보선에서 패배한 뒤에는 김 전 대표와 함께 물러나는 등 김 전 대표와 한묶음으로 움직이는 ‘공동운명체’처럼 인식돼 왔다. 한때 김 전 대표가 안 전 대표의 새로운 ‘정치적 후견인’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하지만 이번 4·29 재보선 패배 이후 문 대표 책임론이 불거진 이후엔 지금까지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김 전 대표는 최근 문 대표를 향해 “친노 좌장이냐 야당 대표냐 결단하라”며 문 대표 사퇴론을 정면으로 제기했다.
그렇지만 안 전 대표는 “모든 선거에 대한 결과는 대표 책임”이라면서도 문 대표의 거취 문제에 대해서는 직접적 언급을 삼가는 등 ‘문재인 체제 흔들기’와는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대신 “지금은 빠른 시간 내에 당내 혼란을 수습하는 게 최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문 대표 책임론이 제기된 초기에는 문 대표와 긴급 회동을 하고 신임 원내대표를 합의추대하자고 제안하는 등 당 위기 국면에 해법을 제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안 전 대표가 문 대표와 전면적 협력관계를 설정한 것은 아니다.
안 전 대표는 최근 여야 대표의 공무원연금 개혁안 합의에 대해 반대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 인상안이 상정될 경우 반대 표결하겠다고 소신을 공개 선언하며 문 대표와의 선별적 협력노선을 드러냈다.
최근 문 대표의 인재영입위원장직 제안이나 ‘초계파 혁신기구’ 카드에 대해서도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이를 근거로 당 안팎에서는 안 전 대표가 최대 정치적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문 대표와 ‘협력적 경쟁 관계’를 설정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특히 당내 계파 갈등에 거리를 두는 ‘통 큰 행보’를 보이는 것은 특정 계파의 수장이 아닌 야권의 차기 대권주자 중 한 명으로서 차별화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정치권에서는 안 전 대표가 원내대표 합의추대의 대상으로 염두에 뒀던 것으로 알려진 이종걸 의원이 원내대표로 선출된 것 역시 안 의원의 당내 기반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돈다.
유용화 정치평론가는 “현재 당내 권력투쟁에 개입할 기반이 없는 안 전 대표로서는 자신의 정치개혁 의지와 깨끗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이와 함께 당내 대권 도전을 위해 필수적인 당내 기반을 어떻게 만들어갈지에 대한 고민이 필수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안 전 대표측 관계자는 “지금은 친노가 비노를, 비노가 친노를 비판할 때가 아니다”라며 “형식적 진영 논리를 벗어나 당의 근본적 쇄신을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