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風’ 몰아치자 떠오르는 野 호남·중진 물갈이론

‘千風’ 몰아치자 떠오르는 野 호남·중진 물갈이론

입력 2015-05-01 13:24
수정 2015-05-01 13: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당 변화 공천으로 보여줘야” vs “인위적 물갈이 안돼” 전략공천 부활 목소리 ‘볼륨업’…文 공천 철학 바뀔지 관건

새정치민주연합이 4·29 재보선에서 텃밭인 광주를 포함, 전패하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호남발 물갈이론’이 ‘태풍의 눈’으로 부상할지 주목된다.

신당 창당의 깃발을 든 천정배 의원이 호남내 혁신경쟁을 선언, 정면승부를 예고한 가운데 ‘호남내 변화’로 상징되는 인적쇄신의 요구가 거세질수 밖에 없어서다. 이는 민심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수도권 내 ‘중진 용퇴론’ 등으로 확산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그 연장선 상에서 이번 재보선에서 ‘용도폐기’됐던 전략공천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내부에서 볼륨을 키우고 있다.

공천의 투명성 보장이라는 명분으로 꺼내든 ‘전 지역 경선’이 오히려 본선 경쟁력 있는 인물의 발굴을 원천봉쇄, 재보선 패인으로 작용했다는 자성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물갈이’로 대변되는 현역 의원 대거 교체나 전략공천이나 “공천권을 내려놓겠다”고 공언한 문 대표가 공천권을 주도적으로 행사할 때 가능한 일이어서 문 대표의 리더십이 또한번 시험대 위에 오를 전망이다.

◇고개드는 ‘물갈이론’…떨고 있는 호남 의원들 = 이번 재보선 패배로 내년 총선 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지면서 새정치연합에는 공천개혁이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특히 독주체제에서 경쟁체제로 전환하게 된 호남의 경우 고강도 공천개혁의 메스를 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문 대표는 당초 “총선 공천에서 호남 중진 물갈이니 하는 인위적 기준을 세워놓는 건 맞지 않다”고 ‘인위적 물갈이’에 대해선 선을 그으며 제도와 시스템의 개혁에 방점을 둬 왔었다.

하지만 이번 재보선으로 확인된 호남민심 이반을 되돌리며 총선에서 ‘천정배 신당’을 누르려면 ‘극약처방’이라도 꺼내들어야 할 절박한 처지가 됐다.

당 핵심 관계자는 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호남이 새정치연합의 변화를 체감하려면 결국 공천을 통해 보여주는 수밖에 없다”며 “변화와 개혁의 이미지에 부합하는 인물을 얼마나 많이 배출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호남 민심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수도권 소장파 그룹 일각에서도 ‘물갈이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한 초선 의원은 “인적쇄신 말고는 답이 없다”며 “현역이 있는 지역이더라도 경쟁력 있는 후보를 적극 공천해야 국민이 감동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호남 의원들이 밖으로는 ‘신당 바람’, 안으로는 ‘공천 불안’에 시달리면서 좌불안석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수도권 중진 용퇴론까지 고개들 수도 = 또한 ‘호남 물갈이론’의 태풍이 현실화된다면 수도권 중진 용퇴론 등으로 바람이 옮겨붙을 가능성도 적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대대적 물갈이가 능사가 아니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당장 호남 의원들 사이에서는 “인위적 물갈이는 오히려 역차별”이라며 저항이 거세다. 물갈이론은 오히려 텃밭에 만연한 ‘호남 홀대론’에 불을 댕기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한 재선 의원은 “인물 대결구도상 본선 경쟁력을 감안할 때 현역 의원을 대거 배제하는 건 현명한 생각이 아니다. 중요한 건 공정한 경선제도 확립”이라며 “선거 때만 되면 호남 물갈이론을 거론하는데 호남이 그렇게 만만한가”라고 반문했다.

또다른 의원은 “호남 물갈이가 호남정치의 복원이냐”며 “번짓수를 잘못 찾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천에서 배제된 현역 의원이 탈당, ‘천정배 신당’으로 말을 갈아탈 경우 ‘친정’에 위협이 되는 상황이 연출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것도 지도부로선 현실적으로 고민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전략공천’ 카드 다시 탄력 받을까 = 새정치연합은 이번 재보선이 치러진 4곳 모두에서 경선을 통해 후보를 확정했다. 지난해 7·30 재보선 당시 당 전체를 뒤흔든 전략공천 파동에 따른 교훈에서였다.

후보 선출 작업을 경선 시스템에 맡겨두면서 문 대표도 공천 과정에서 한발 비껴서 있었다. 문 대표는 재보선 과정에서 “이제는 과거처럼 당의 지도부가 전략공천이라는 이름으로 자의적으로 공천하는 일은 다시는 없을 것”이라고 못박은 바 있다.

그러나 그 결과가 전패로 이어지면서 본선 경쟁력 등에 대한 고려 없이 무조건 경선에만 의존한 것은 지도부의 전략 미스라는 내부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전날 의원총회에서 “공천 실패가 주요 패인”이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경쟁력 있는 인물의 발탁 통로인 전략공천 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인 셈이다.

경선을 실시하면 인지도와 조직력에서 우위를 점하는 현역의원의 기득권만을 강화하는 부작용이 있다는 문제의식도 안팎에서 적지 않다.

하지만 전략공천이 자칫 지도부의 자의적 공천권 행사로 이어지면서 계파간 분란의 소지로 작용하는 폐해도 있는 만큼, 이번 총선에서 어느 정도 수준에서 적용될지는 미지수이다. 또한 전략공천에 따른 공정성 시비를 차단하려면 계파간 공감을 이룰 수 있는 외부인사 등 인재영입이 바탕이 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 새정치연합은 전략공천 심사를 당 대표가 아닌 전략공천위원회에 맡기기로 하면서 전략공천 비율도 기존 30%에서 20%로 줄이는 방안을 채택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