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5·16, 불가피한 선택…쿠데타보다 정변”

김명수 “5·16, 불가피한 선택…쿠데타보다 정변”

입력 2014-07-09 00:00
업데이트 2014-07-09 15: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용없이 쓴것은 사과…알려진 사실, 표절아니다”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는 9일 5·16에 대해 “단정적으로 말씀드리기보다는 불가피한 선택 아니었겠느냐”고 말했다.
김명수 사회부총리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9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장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김명수 사회부총리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9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인사청문회장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의 인사청문회에서 “당시 상황을 봤을 때 우리 대한민국이 최빈국 가운데 하나였고, 여러 가지로 상황이 어려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후보자는 그러면서도 “역사적으로 볼 때 아직도 생존자가 남아있고 하니 좀 더 후에 판단하는 게 좋지 않겠느냐”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5·16은) 불가피한 선택이었고 지금은 정변 또는 쿠데타로 정리되고 있지 않느냐”면서 “저는 쿠데타보다는 정변이라는 데 생각이 더 가 있다”고 말했다.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제가 세심하게 보지 못해 인용표시 없이 실린 것은 분명히 사과드린다”면서도 “그 분야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알려진 사실들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렇게 쓰였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자는 “표절은 특수한 용어나 새로 만들어진 단어 등 이런 것을 인용없이 쓰는 경우가 표절”이라고 주장했다.

제자논문을 자신의 이름으로 학술지에 게재한 것에 대해 “(제자의) 이름을 빼먹은 것은 실수”라면서도 “석사학위, 박사학위 논문은 그 자체가 미간행물이기 때문에 간행물 쪽으로 넣어 주는 것이 (좋다)”고 해명했다.

김 후보자는 언론 기고문 등의 대필 의혹에 대해서는 “교원대에 파견돼 있는 것이 전체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제가 쓸만한 방향, 내용 이런 것을 얘기해주고 자료를 찾아오게 하고, 원고를 내라고 했다. 그러면 제가 써서 제출한 것이다. 부도덕한 짓거리를 하지는 않았다”고 반박했다.

같은 논문을 여러 곳에 게재해 연구비를 부정수령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인건비성 보조에 해당하는 것”이라면서 “잘못된 관행이라 해서 다시 반납했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배우자 명의의 4개 계좌에 올해 3월, 5월 두 차례에 걸쳐 1억4천여만원이 입금된 것과 지난해 12월 변액보험까지 포함해 총 1억7천여만원의 자금 출처에 대해 “퇴직 때 교원공제회에서 6천500만원을 받았고, 제 봉급계좌이지만 집사람이 관리했으니 다양하게 (관리를)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