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1주년인 25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이를 임기 내내 직접 챙기면서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겠다고 스스로 다짐하고, 국민에게 약속했다.
생방송으로 이뤄진 이날 담화 발표 자리에는 박 대통령의 왼편에 정홍원 국무총리를 비롯해 15개 부처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공정거래위원장, 금융위원장이 배석했다. 국방부 장관과 공석인 해양수산부 장관은 빠졌다.
박 대통령 왼편에는 청와대에서는 김기춘 비서실장과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수석비서관 9명, 국가안보실 1차장이 자리잡았다. 내각과 청와대 수뇌부가 사실상 총출석한 셈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2월25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취임식 때 입었던 코트와 같은 국방색 재킷 상의를 입었다.
이날 발표된 담화는 박 대통령이 지난 1월6일 신년구상 발표 및 기자회견 때 밝힌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담겼다.
이러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이날 완성본이 나오기까지 한 달 반이 걸렸다.
박 대통령이 신년구상 발표 자리에서 ▲기초가 튼튼한 경제 ▲역동적인 혁신경제 ▲내수·수출 균형경제 등 3대 핵심전략을 세운 직후부터 기획재정부가 다른 부처와 협업을 통해 계획 수립 작업에 착수했다.
기재부는 경제정책국을 중심으로 모든 실·국이 매달려 우리 경제의 구조를 개혁하는 혁신 과제를 발굴했고, 민간 전문가 등과 함께 100여차례의 회의를 거치는 한편 인터넷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받는 방법으로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
이 과정에서 기재부는 청와대 경제수석실과도 계속 의견을 조율, 지난 19일 대략적인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틀을 마련했다.
이후에도 최종본이 나오기까지는 수차례의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수정·보완 과정에는 박 대통령이 직접 관여했다고 한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초안을 기재부와 경제수석이 머리를 맞대서 만들면 대통령께서 그것을 보고 수차례 첨삭 과정을 거치는 등 공을 많이 들였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 담화문의 경우 이날 발표 시작 15분 전인 오전 9시45분에야 최종본이 완성됐다.
이러한 수정·보완 과정을 통해 지난 19일 기재부가 마련한 초안에서는 경제혁신 추진 핵심과제는 15개였으나 최종적으로는 9개로 줄었고, 여기에 통일과 관련한 부분이 더해졌다.
특히 통일 분야는 막판까지 수정이 거듭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계획에는 남북 경협사업 등 경제적 측면에서 통일을 준비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지만 최종본에는 외교·안보·경제·사회·문화 등 제반분야 민간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를 설립해 ‘통일 한반도’의 청사진을 만들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조원동 경제수석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실현방안 발표가 회의 모두발언이 아닌 생방송으로 중계되는 대국민 담화 형식으로 결정된 것과 관련, “국민에게 직접 설명을 하면서 전체 그림을 보여주는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해 담화 형식을 택했다”며 “방대한 계획을 설명하기에 40분이 긴 시간이 아니었고, 국민에게 어떻게 설명을 할 것인가에 대한 대통령의 고려와 고민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박 대통령의 담화 발표는 무려 41분간 이어진만큼 연설문도 원고지 97장으로 많았다. 글자수는 1만1천910개였고, 단어는 2천680개나 들어갔다.
담화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경제’로 69차례나 언급됐다. 이어 ‘국민’이란 단어는 25차례, 규제 24차례, 혁신 21차례, 창조 14차례, 통일 11차례, 일자리·관행·정부 각 10차례, 고용 9차례, 창의·발전 7차례 등의 순이었다.
연합뉴스
생방송으로 이뤄진 이날 담화 발표 자리에는 박 대통령의 왼편에 정홍원 국무총리를 비롯해 15개 부처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공정거래위원장, 금융위원장이 배석했다. 국방부 장관과 공석인 해양수산부 장관은 빠졌다.
박 대통령 왼편에는 청와대에서는 김기춘 비서실장과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수석비서관 9명, 국가안보실 1차장이 자리잡았다. 내각과 청와대 수뇌부가 사실상 총출석한 셈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2월25일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취임식 때 입었던 코트와 같은 국방색 재킷 상의를 입었다.
이날 발표된 담화는 박 대통령이 지난 1월6일 신년구상 발표 및 기자회견 때 밝힌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담겼다.
이러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은 이날 완성본이 나오기까지 한 달 반이 걸렸다.
박 대통령이 신년구상 발표 자리에서 ▲기초가 튼튼한 경제 ▲역동적인 혁신경제 ▲내수·수출 균형경제 등 3대 핵심전략을 세운 직후부터 기획재정부가 다른 부처와 협업을 통해 계획 수립 작업에 착수했다.
기재부는 경제정책국을 중심으로 모든 실·국이 매달려 우리 경제의 구조를 개혁하는 혁신 과제를 발굴했고, 민간 전문가 등과 함께 100여차례의 회의를 거치는 한편 인터넷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받는 방법으로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
이 과정에서 기재부는 청와대 경제수석실과도 계속 의견을 조율, 지난 19일 대략적인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틀을 마련했다.
이후에도 최종본이 나오기까지는 수차례의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수정·보완 과정에는 박 대통령이 직접 관여했다고 한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초안을 기재부와 경제수석이 머리를 맞대서 만들면 대통령께서 그것을 보고 수차례 첨삭 과정을 거치는 등 공을 많이 들였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 담화문의 경우 이날 발표 시작 15분 전인 오전 9시45분에야 최종본이 완성됐다.
이러한 수정·보완 과정을 통해 지난 19일 기재부가 마련한 초안에서는 경제혁신 추진 핵심과제는 15개였으나 최종적으로는 9개로 줄었고, 여기에 통일과 관련한 부분이 더해졌다.
특히 통일 분야는 막판까지 수정이 거듭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계획에는 남북 경협사업 등 경제적 측면에서 통일을 준비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지만 최종본에는 외교·안보·경제·사회·문화 등 제반분야 민간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 각계각층이 참여하는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를 설립해 ‘통일 한반도’의 청사진을 만들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조원동 경제수석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실현방안 발표가 회의 모두발언이 아닌 생방송으로 중계되는 대국민 담화 형식으로 결정된 것과 관련, “국민에게 직접 설명을 하면서 전체 그림을 보여주는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해 담화 형식을 택했다”며 “방대한 계획을 설명하기에 40분이 긴 시간이 아니었고, 국민에게 어떻게 설명을 할 것인가에 대한 대통령의 고려와 고민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이날 박 대통령의 담화 발표는 무려 41분간 이어진만큼 연설문도 원고지 97장으로 많았다. 글자수는 1만1천910개였고, 단어는 2천680개나 들어갔다.
담화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는 ‘경제’로 69차례나 언급됐다. 이어 ‘국민’이란 단어는 25차례, 규제 24차례, 혁신 21차례, 창조 14차례, 통일 11차례, 일자리·관행·정부 각 10차례, 고용 9차례, 창의·발전 7차례 등의 순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