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전대시기 7∼8월 무게 속 내부 진통

與, 전대시기 7∼8월 무게 속 내부 진통

입력 2014-02-13 00:00
업데이트 2014-02-13 1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친박 주류 “지방선거 후” vs 친이 비주류 “지방선거 전”

새누리당이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를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회의 자료 살펴보는 황우여와 최경환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최경환 원내대표가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회의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회의 자료 살펴보는 황우여와 최경환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최경환 원내대표가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회의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황우여 대표를 비롯한 현 지도부의 임기가 오는 5월에 끝나는 가운데 친박(친박근혜) 주류에서 6·4 지방선거 영향 등을 고려해 전대 시기를 7∼8월로 연기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옛 친이(친이명박)계를 비롯한 비주류는 원칙대로 5월 이전에 치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양측은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전대시기를 놓고 정면충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친박 핵심인 홍문종 사무총장은 의총 모두발언에서 “전대 시기와 관련해 사심 없이 지방선거 승리와 박근혜 정부의 승리만을 생각하며 여러 가지 방안을 고려 중”이라면서도 “5월에 전대를 열어 신임 지도부를 선출해야 하지만 그때가 되면 지방선거 후보등록이 시작되는 등 일정에 어려움이 있다”며 연기론에 무게를 실었다.

그는 “6·4 지방선거 이후에 전대를 개최하자는 의견이 다수 제시됐다”고도 밝혔다.

그는 특히 의총 비공개회의에서 “조기 전대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지방선거는 공동선대위 체제로 치르고 책임을 지면된다”고 잘라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서 옛 친이계인 재선의 김성태 김용태 김영우 의원 등이 전대 연기 불가론을 폈다.

김영우 의원은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나 “전대 연기는 지방선거 필패로 귀결된다. 미리 지방선거 패배를 상정해 연기하자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기 위해서라도 원칙대로 5월 이전에 전대를 열어 책임 있는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주류 측에선 전대 시기 논의를 위한 의총 재소집을 요구했으나 당 지도부는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은 당내 의견을 추가로 수렴한 뒤 조만간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전대 시기를 확정할 예정이지만 주류·비주류 간 찬반 대립으로 적잖은 논란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