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기 내란음모 혐의 수사 공방] 진보당 “총기·시설파괴 모의 안해”… 녹취록 내용 부인

[이석기 내란음모 혐의 수사 공방] 진보당 “총기·시설파괴 모의 안해”… 녹취록 내용 부인

입력 2013-08-31 00:00
업데이트 2013-08-31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석기, RO모임 강사로 참여 일상적인 당 활동이었을 뿐…강연 후 7개 그룹 평화 토론”

통합진보당은 30일 국정원과 검찰이 적용한 혐의 내용 자체를 전면 부인하던 전략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대해 반격을 시작했다. 진보당은 이석기 의원과 김홍열 경기도당 위원장 등이 하루종일 순차적으로 기자회견을 갖고 국정원이 이른바 ‘RO(Revolutionary Organization·혁명조직) 모임’으로 보고 있는 지난 5월 12일 서울 합정동 모임과 관련, “경기도당 당원 1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에 이 의원이 강사로 참여한, 일상적인 당 활동”이라고 주장했다. 법정에서의 법리공방에 대비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진보당은 이날 오전 이 의원실에 대한 국정원 압수수색이 끝난 뒤 대책회의를 열고 언론에 보도되고 있는 녹취록에 대한 당의 입장을 정리했다. 이날 저녁 긴급 기자회견을 연 이 의원은 내란 음모 혐의를 전면 부인하면서 60년 분단체제를 항구적 평화체제로 대전환해야 한다는 정세 인식을 밝힌 것이라고 주장했다.

5월 모임 참석자들도 녹취록 등에 대해 조목조목 부인하고 나섰다. 녹취록에 발언 내용이 적시된 김근래 경기도당 부위원장은 자신의 발언 취지에 대해 “그 당시를 봤을 때 전쟁의 위협이 고조되고 있었고, 더 극단적인 상황으로 정국이 흘러가면 전쟁이 발발할 수도 있고, 그런 위기감과 함께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반전 평화운동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김홍열 경기도당 위원장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의원의 강연이 끝나고 7개 그룹으로 나뉘어 정세 관련 토론을 했다. 강연에서도, 제가 아는 그룹토론에서도 기간시설 파괴 등의 대화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여권 내부에서는 “올 초 북한이 핵 위기를 고조시키면서 자신들을 평화애호 세력이라고 자처하며 정전협정의 평화협정 전환을 주장했다”며 “진보당이 주장하는 반전 평화운동 주장이나 항구적 평화체제 전환 등은 북한의 주장과 일맥상통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진보당은 오후 6시 30분 부산 서면에서 ‘시국당원대회’를 가진 뒤 ‘국정원 사태 시국회의’가 같은 장소에서 개최한 촛불집회에 참가해 박근혜 정부와 국정원을 성토하는 등 대국민 여론전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3-08-31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