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야당에 의한 정치공작” vs 野 “정치개입·수사 축소은폐”초장부터 여야 의원 간 막말·고성 ‘분위기 과열’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의 16일 첫 청문회는 예상대로 여야 의원들의 설전으로 뜨겁게 달아올랐다.핵심 증인인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사상 첫 동반 출석한 가운데 새누리당은 국정원과 경찰의 선거개입설을 일축하며 야당의 ‘정치공작’ 의혹을 제기한 반면, 민주당은 국정원의 정치개입과 경찰 수사의 축소·은폐 가능성을 부각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두 증인이 증인선서를 거부한 채 ‘선별적 답변’에 나섬에 따라 민주당은 ‘대선개입 의혹’을 입증할만한 ‘큰 것 한방’을 날리지는 못했다.
◇경찰 수사 축소·은폐 의혹에 날선 공방 = 민주당은 김 전 청장을 겨냥해 경찰이 국정원 댓글의혹 사건 수사를 축소·은폐하고, 나아가 축소 발표과정에 정치권 배후가 있는 것이 아니냐고 추궁했다.
민주당 박남춘 의원은 “분석관들이 분석한 증거물을 기초로 서울경찰청이 덮은 것을 수서경찰서는 바로 압수수색해 (올해) 1월 일목요연하게 수사 결과를 냈다는 점에서 작년 12월 서울청의 발표는 축소, 은폐라고 단정적으로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같은 당 박범계 의원은 “(서울청이) 분석 결과를 발표하기 전부터 대선 전 ‘D데이’에 맞춰 선거개입 의혹을 해소해 주기로 보도자료 작성과 브리핑 준비를 추진했다”며 조작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D데이’란 사전에 시나리오가 있었다는 것”이라며 “박원동 전 국정원 국장, 권영세 주중 대사(당시 선대위 종합상황실장)와 미리 상의했느냐”며 여권 내 ‘연결고리’를 찾는데 주력했다.
박영선 의원은 “박 전 국장과 김 전 청장이 12월16일 통화했고, 권 대사와 박 전 국장이 12월11∼16일 수차례 통화했다”라며 “김무성 의원은 12월16일 정오 기자간담회부터 허위 수사결과가 발표될 것이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고 배후 가능성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은 “특정 후보에게 영향을 미칠 의도가 있었다면 영상녹화실에서 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CCTV를 통한 조사과정 녹화가 정치개입 의도가 없었다는 간접 증거라고 주장했다.
같은 당 윤재옥 의원은 조사과정에 대한 CCTV 녹화를 지시했다는 김 전 청장의 진술에 “전체 맥락을 제쳐두고 일부분을 발췌해 허위 수사발표인양 보도되는데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라고 물으며 ‘지원사격’을 했다.
김재원 의원도 김 전 청장에게 “실제로 작년 10월 국정원 직원 김모씨가 작성한 댓글을 찾아낸게 6개이다”라며 “문재인 후보에 대한 비방글, 박근혜 후보 지지 게시글이 없는 게 맞죠”라고 물으며 경찰 수사결과 발표에 문제가 없었음을 주장했다.
◇국정원장 정치개입 의혹 vs ‘제2의 김대업 사건’ = 오후 출석한 원세훈 전 원장을 상대로 ‘국정원이 지속적 정치개입을 했다’는 민주당측 주장과 ‘댓글사건은 실패한 정치공작’에 불과하다’는 새누리당의 주장이 충돌했다.
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원 전 원장을 향해 “2011년 비(非)한나라당 후보가 시장이 되는 게 문제라고 한 것은 국정원 업무와 상관이 있는 지시사항인가”라고 꼬집었다.
박영선 의원도 “지시·강조 녹취록에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이 종북좌파라는 것이 있다”면서 “대선 뿐 아니라 총선, 지방선거,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 ‘투표를 거부하는 것은 잘못이다’고 한 것은 명백한 선거개입”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경대수 의원은 “국정원 직원이 기밀을 누설하고 미행 과정에 개입한 사실이 있는데 해당 직원이 총선에서 민주당 예비후보로 등록했다”라며 민주당의 ‘매관매직 의혹’을 꺼내들었다.
같은 당 김태흠 의원은 “국정원 댓글 사건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전·현직 직원이 (민주당) 선대본부 관계자와 사전 공모해 국정원을 활용했는데 실패한 정치공작”이라며 “그 대가가 매관매직 사건이라고 정의한다”고 동조했다.
김태흠 의원과 권성동 의원은 ‘제2의 김대업 사건’으로 표현하며 국정원 댓글 사건의 실체가 민주당의 정치공작이라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원 전 원장이 ‘선거에 영향 주는게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는 이유로 NLL 대화록 공개에 반대했다는 점을 들어 “선거에 영향을 주는 대화록을 공개하지 않은 증인이 인터넷에 글을 올려 개입하려 했다는 주장을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청문회는 시작부터 여야 의원들이 서로 언성을 높이며 막말을 쏟아내거나 삿대질을 주고받는 등 과열된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