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율 높으면 보수 필패, 40대·서울서 뒤지면 낙선
18대 대선은 범보수와 범진보 간 맞대결로 치러지면서 그동안 통용돼 왔던 ‘선거 공식’들이 상당수 깨졌다.●文-安 ‘아름다운 단일화’ 실패 발목
우선 ‘단일화 불패 신화’를 꼽을 수 있다. 1997년 15대 대선에서 김대중·김종필(DJP 연합) 후보 간 단일화는 헌정 사상 첫 정권 교체의 초석이 됐고, 2002년 16대 대선에서 노무현·정몽준 후보 간 단일화는 진보 정권 10년이라는 이정표를 세우는 원동력이 됐다. 하지만 이번 대선에서 문재인·안철수 후보 간 단일화는 ‘아름다운 단일화’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전 후보가 국민들의 과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했다.
●‘5060세대’ 응집력… ‘2030’ 누르다
투표율과 지역별, 세대별 득표율 등에서 공고했던 공식들도 허물어졌다.
투표율이 높으면 ‘보수 후보 필패’였던 징크스가 깨졌다. 15대 대선 이후 투표율이 70%를 넘으면 진보 후보(김대중·노무현)가 승리했고 그 이하면 보수 후보(이명박)가 당선되는 구도였다. 이번 대선의 투표율은 75.8%로 집계됐다. 15대 대선(80.7%)보다 낮지만 16대(70.8%) 때보다 5.0% 포인트나 상승했다. 최근 선거에서 볼 수 없었던 높은 투표율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이 때문에 새누리당은 선거 당일 비상이 걸렸고 민주당은 기대감이 고조됐다. 진보 성향의 ‘2030세대’가 대거 투표에 참여해 투표율이 올라갔다고 예상했지만 뚜껑을 열어 보니 ‘5060세대’의 응집력으로 드러났다.
당선인과 서울 지역·40대 간 ‘득표율 상관관계’도 깨졌다. 1997년 이후 서울 지역에서 패배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적이 없었다. 하지만 박근혜 당선인은 서울에서 48.18%의 득표율을 기록해 문재인(51.42%) 전 후보보다 3.24% 포인트 뒤졌지만 인천, 경기에서 선전해 만회했다. 또 ‘40대 유권자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면 낙선한다’는 징크스도 깨졌다. 박 당선인은 40대 득표율에서 문 전 후보에게 뒤졌지만 ‘5060세대’의 압도적인 지지로 승리했다. 방송 3사의 출구조사에서는 박 당선인이 44.1%의 득표율을 얻을 것으로 예상돼 문 전 후보(55.6%)에게 크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하지만 박 당선인은 50대에서 62.5%, 60대 이상에서는 무려 72.3%의 득표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왔다.
●“충북 얻는 자 대권 잡는다” 또 입증
반면 징크스를 이어 간 것도 있다. ‘중원’(충북)을 얻는 자가 ‘대권’을 잡는다는 징크스는 계속됐다. 박 당선인은 충북(56.22%)에서 문 전 후보(43.26%)와 격차를 벌리며 승기를 잡았다. 1987년 직선제 부활 이후 충북에서 패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 적이 없었다. 또 ‘깜깜이 선거 기간’(선거일 6일 전부터 여론조사 공표 금지 기간) 직전의 민심이 선거일까지 이어진다는 속설도 계속된다. 박 당선인은 선거법상 공표할 수 있었던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문 전 후보를 3~5% 포인트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12-12-21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