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지역 민심으로 본 대선 삼국지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의 텃밭이 흔들리고 있다. 추석 연휴를 거치면서 박 후보는 부산·울산·경남(PK), 문 후보는 호남, 안 후보는 서울에서 각각 지지율에 비상등이 켜졌다. 텃밭에서 아성이 흔들리면 경쟁 후보에게 교두보를 내주는 결과를 초래하는 만큼 각 후보 진영이 느끼는 ‘체감 민심’은 더욱 심각할 수밖에 없다.우선 새누리당은 PK 지역에서 대선 승리의 마지노선으로 간주하는 이른바 ‘6대4’ 구도가 깨졌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지난 1일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여론조사에서 PK 지역의 양자 대결 결과는 박 후보 51.0%, 안 후보 44.0%였다. 박 후보와 문 후보의 대결에서는 각각 52.0%, 42.1%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다른 여론조사에서도 양자 대결의 지지율 격차가 10% 포인트 이내로 좁혀진 상태다. 이 지역 유권자가 630만여명이고 대선 투표율을 60~70%로 가정하면 이번 대선에 걸린 표는 380만~440만표다. 결국 PK에서 여야 후보의 득표 격차가 40만표 안팎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앞서 이회창·노무현 후보가 맞붙은 2002년 대선 당시 이 후보는 PK에서 66.7%를 얻어 29.9%의 득표율을 올린 노 후보를 146만표 차이로 이겼으나, 이 후보가 다른 지역에서 밀리면서 전체 투표에서는 57만표 차이로 졌다.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당시에 비해 PK 지역에서만 100만표가량을 잃어버리는 셈인 만큼 발등에 불이 떨어진 형국이다. 이는 대선 승리를 위해 필요한 득표수인 1100만~1200만표의 10%에 육박하는 수치다. 야권의 두 후보가 모두 이 지역 출신인 요인도 작용하고 있다.
민주당의 경우 호남 지역에서 이상 신호를 감지하고 있다. 2002년 대선 당시 노 후보는 호남에서 평균 93.4%(광주 95.2%, 전남 93.4%, 전북 91.6%)의 압도적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 지역 유권자가 400만여명, 대선 예상 투표율을 60~70%라고 가정했을 때 이번 대선에서는 240만~280만표가 걸려 있다. 지난 1일 국민일보·글로벌리서치가 실시한 3자 대결 여론조사에서 문 후보를 선택한 호남 지역 응답자는 36.1%에 불과했다. 안 후보가 43.5%로 가장 많았고, 박 후보도 두 자릿수 지지율인 12.1%를 기록했다. 2002년 대선 당시 이 후보가 호남에서 20만여표를 얻은 점을 감안하면 박 후보에게는 50만표 가까이 내줄 수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안 후보 지지층이 어디로 이동할지 모른다는 점에서 위기감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민주당 관계자는 3일 “호남에서 적어도 85% 이상의 득표율을 올려야 승산이 있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추석 전후로 쏟아진 각종 검증공세의 여파로 3040세대 주요 지지층이 몰린 수도권에서 주춤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21~22일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의 서울 지역 양자대결 여론조사에서 56.0%의 지지율로 박 후보(37.0%)를 크게 앞섰지만, 1일 같은 기관의 여론조사에서는 51.3%의 지지율을 얻어 40.6%인 박 후보와의 격차가 10.7% 포인트로 좁혀졌다. 여전히 박 후보를 앞서고는 있지만 추석 연휴를 거치면서 상승세가 한풀 꺾인 모습이다. 특히 40대 지지율은 지난달 여론조사에서 안 후보 57.1%, 박 후보 31.3%로 25.8% 포인트 차이를 나타냈지만, 이번 여론조사에서는 안 후보 51.7%, 박 후보 39.6%로 절반 이상 격차가 좁혀진 상태다. 지역별 표심보다는 세대별 표심에 의존하고 있는 안 후보로서는 수도권과 40대 지지층의 이상 기류가 우려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구태 정치인의 단골 메뉴나 다름없는 재개발 아파트 ‘딱지’ 거래와 다운계약서 작성 논란이 연달아 불거지면서 새로운 정치를 기대했던 젊은 층의 지지율 이탈이 서서히 일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 후보를 제치고 야권의 단일후보가 돼 민주당의 전통적 지지층을 흡수하더라도 안 후보는 수도권에서 승부를 걸어야 한다.
야권 관계자는 “전체 유권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수도권에서 지지율 5%는 TK와 PK에서의 지지율 15%이상을 상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세훈·이현정·이영준기자 shjang@seoul.co.kr
2012-10-0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