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스토리가 있는 문화유산기행] 통일신라의 중앙, 우뚝 솟은 7층 거탑… 삼국 융합과 안녕을 빌다

[서동철 기자의 스토리가 있는 문화유산기행] 통일신라의 중앙, 우뚝 솟은 7층 거탑… 삼국 융합과 안녕을 빌다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7-07-07 17:38
수정 2017-07-07 19: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6> ‘중앙탑’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충북 충주시 중앙탑(中央塔)면은 옛 이름 가금면을 주민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2014년 바꾼 것이다. 가금면은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가흥(可興)면과 금천(遷)면에서 한 글자씩 모아 만든 땅이름이었다. 그런데 가흥이나 금천 모두 왠지 낯익은 독자도 적지 않을 것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세금으로 걷은 곡식을 도성으로 실어 나르던 조창(漕倉)이 있던 곳이다.
이미지 확대
중앙탑으로도 불리는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통일신라 후기인 8세기 후반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1917년 해체보수하면서 6층 몸돌과 기단 밑에서 고려시대 거울이 포함된 사리장엄이 수습됐다. 조성 이후 수리 과정에서 2차 봉안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중앙탑으로도 불리는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통일신라 후기인 8세기 후반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1917년 해체보수하면서 6층 몸돌과 기단 밑에서 고려시대 거울이 포함된 사리장엄이 수습됐다. 조성 이후 수리 과정에서 2차 봉안이 있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오늘날의 경상북도와 충청북도 일원에서 세금으로 걷은 곡식은 충주 조창에 모였다. 경상도 세곡은 달구지에 실어 문경새재를 넘어야 했으니 한양으로 가는 길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충주에서 배에 실으면 용산이나 서강 포구까지는 순식간이었다. 남한강 물길의 힘이었다. 강원도 세곡도 충주에서 보면 남한강 하류인 원주 흥원창(興元倉)에서 배에 실렸다.

조선왕조는 초기 충주에 덕흥창(德興倉)과 경원창(慶原倉)이라는 두 곳의 조창을 운영했다. 덕흥창은 경원창보다 상류지역에 있었는데,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금천창(遷倉)으로도 불렀던 듯하다. 덕흥창이라는 공식 이름이 있었지만, 조창이 자리잡은 땅이름이 더 익숙했던 게 아닌가 싶다. 그동안의 행정구역 개편과 개명(改名)으로 이제 금천이라는 땅이름은 충주에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중앙탑면에 창동리(倉洞里)가 있으니 곧 조창 주변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흥창은 덕흥창과 경원창을 통폐합한 조창이었다. 그 역사가 가흥리라는 땅이름으로 남아 있는 것은 다행스럽다. 가흥리에도 조선시대 조창의 물리적 흔적을 찾기는 어렵다. 다만 가흥리에서 남한강 건너로 바라보이는 목계나루가 남한강 수운(水運)의 역사를 그런대로 보여 준다. 목계나루에는 물길 따라 떠도는 방물장수의 삶을 노래한 신경림 시인의 ‘목계장터’ 시비(詩碑)도 세워졌다. ‘하늘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하고/ 땅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하네’로 시작하는 그 시다.
옛 가금면 주민들이 땅이름을 바꾸는 쉽지 않은 결정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당연히 중앙탑의 존재 때문이다. 중앙탑이란 1962년에 국보 제6호로 지정된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을 말한다. 남한강의 경관과 잘 어울리는 12.65m의 석탑으로, 통일신라시대 것으로는 가장 높다고 한다. 탑평리(塔坪里)라는 마을 이름 또한 이 탑의 존재와 관계가 있다. 중앙탑이라고 부르는 것은 당시 신라 영역의 복판에 해당하기 때문일 것이다. 충주 일대를 중원(中原)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이치다.

탑평리 칠층석탑은 평탄한 대지에 흙으로 단을 쌓고 세웠다. 석탑이란 부처의 사리를 모신 불교 신앙의 대상이다. 탑에 안치하는 것은 부처의 진신사리일 수도 있고, 부처의 가르침을 담은 법사리일 수도 있다. 이런 석탑은 절의 큰법당 앞에 세워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1992~1993년 정영호 교수가 이끈 한국교원대박물관 조사단이 중앙탑 주변을 발굴 조사한 결과 사찰의 존재를 찾지 못했다. 한마디로 ‘절과 관계없이 세운 탑’이라는 뜻이었다. 중앙탑의 건립 배경을 두고 다양한 추론이 제기된 것도 이 때문이다.

일본 민속학자 무라야마 지준은 ‘충주는 삼한의 중앙이며, 또한 이곳에 왕기(王氣)가 있으므로 이를 누르고자 세운 탑’이라고 했다. 김현길 충북향토문화연구소 초대 소장은 ‘삼국을 통일한 신라가 불력(佛力)으로 새로 편입된 백제·고구려의 유민을 포용·융합하고자 국토의 중앙에 세운 탑’으로 설명했다.

지금은 충주시에 통합된 중원군이 펴낸 ‘1993년 중원 탑평리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는 ‘국토의 중앙이라는 상징성과 더불어 육로와 수로의 안전을 두고 기원하는 풍수지리적 의미’로 봤다. 최근영 전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실장은 ‘통일신라가 국가적 차원에서 부처의 힘을 빌려 반(反)신라적 지방세력과 이반 조짐을 보이는 민심을 진무(鎭撫)하고 안정을 꾀하고자 발원한 석탑’이라고 해석했다.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는 이유는 충주를 중심으로 하는 이른바 중원이 그만큼 복잡한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 지역은 고구려·신라·백제가 각축을 벌인 전략적 요충지였다. 삼국의 문화유산이 두루 남아 있는 것은 당연하다. 충주 칠금동에서는 최근까지도 4세기 백제의 철 생산 유적이 잇따라 확인되고 있다. 전형적인 백제의 원형 제련로를 비롯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로, 철광석 파쇄장 같은 일련의 철 생산 과정을 보여 주는 유구들이다.

하지만 고구려가 남진하면서 백제는 한강 유역은 물론 남한강 상류의 중원 지역에서도 세력을 잃는다. 고구려가 지배력을 행사하는 동안 고구려 사람들도 대거 이 일대로 이주한 듯하다. 중앙탑과 이웃한 충주 고구려비가 고구려군의 진출 증거라면 봉황리 햇골산 마애불상군(群)은 고구려계 주민이 눌러살았음을 보여 준다. 이들은 소백산맥 죽령 남쪽 오늘날의 영주 일대까지 넓게 퍼져 살았다.
이미지 확대
충주 탄금호 전경. 중앙탑이 있는 오른쪽 탄금호 국제조정경기장 주변은 통일신라시대의 사실상 제2수도였던 중원경의 옛터로 추정된다.
충주 탄금호 전경. 중앙탑이 있는 오른쪽 탄금호 국제조정경기장 주변은 통일신라시대의 사실상 제2수도였던 중원경의 옛터로 추정된다.
신라가 충주 일대의 지배를 공고히 한 것은 진흥왕 시절이다. 진흥왕은 557년 이곳에 국원소경(國原小京)을 설치한다. 8세기 중반 경덕왕 때 이름을 바꾼 중원경은 경주에 이은 사실상의 제2수도였다. 신라는 이곳에 경주의 귀족과 부호의 자제를 옮겨 살게 했다. 흥미로운 것은 당시 복속한 가야의 주민들도 이곳으로 보냈다는 것이다. 가야금으로 대가야연맹의 통합을 이룬 우륵의 전설이 어린 탄금대(彈琴臺)가 충주에 있는 이유다.

충주시는 2013년 세계조정선수권대회를 유치하면서 중원경의 옛터로 추정되는 중앙탑 북쪽 개활지와 탄금호(彈琴湖)에 국제 규격의 조정경기장을 세웠다. 앞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발굴조사를 벌였는데, 그 결과는 충주의 역사와 일치했다. 대규모 백제 취락이 확인됐고, 백제 유적의 상부에서는 고구려 구들이 중복되어 드러났다. 고구려 구들은 장기 거주 목적이 아닌 임시 체류 성격이었다. 신라 주거지도 밀집 분포하고 있었다.

출토된 백제 토기류는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중반 것이었다. 고구려 토기는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 것으로 파악됐다. 신라 토기는 6세기 중엽 이후로 편년이 이루어졌는데, 몇몇 토기는 대가야계 토기의 특징들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보면 중원경의 옛터에 자리잡은 중앙탑은 하나의 석탑이지만,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중원의 역사를 그대로 응축하고 있는 상징물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충주사람들이 땅이름까지 바꿀 만큼 중앙탑에 애정을 갖는 것도 이해가 가고도 남는다.

글 사진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7-07-0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