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와 석유화학·방산 ‘빅딜’ · 제일모직 주축 출자구조 단순화 · 3세 승계 위한 상속세 실탄 마련
이건희 회장 와병 후 삼성은 숨가쁜 사업구조 개편을 거쳤다. 굵직굵직한 계열사 합병과 상장이 진행됐고 한화와의 석유화학, 방산 부문 ‘빅딜’로 정점을 찍었다. 구조 개편은 ‘선택과 집중’, ‘단순화’의 패턴을 보였다.지난해 11월 말, 삼성은 삼성종합화학, 삼성토탈, 삼성테크윈, 삼성탈레스 등 4개사를 한화에 넘기기로 결정했다. 재계는 삼성과 한화 간의 빅딜을 두고 삼성이 전자 등 주력 사업군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사건으로 해석했다. 삼성은 빅딜을 통해 다양한 업종을 거느린 선단식 체제에서 삼성전자를 축으로 한 전자, 삼성생명을 앞세운 금융, 삼성중공업을 뼈대로 한 중공업과 건설 등 크게 세 분야로 사업을 정리했다.
삼성전자와 삼성생명을 중심으로 출자구조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비주력 계열사를 과감히 정리했다는 분석도 있다. 삼성그룹의 순환출자 구조는 ‘이 회장 일가→제일모직→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뤄진다.
제일모직이 삼성전자를 지배하는 삼성생명 지분을 19.34% 보유하고 있고, 이 회장 등 지배주주 일가의 제일모직 지분율은 45.56%에 달한다. 사실상 제일모직을 통해 그룹을 지배하고 있는 셈이다. 출자구조 단순화를 통해 일감 몰아주기 과세를 피하고 상장을 통해 3세 승계를 위한 상속세 마련에 나섰다는 평가도 받는다.
지난해 3월 삼성SDI와 제일모직의 합병 발표가 있었고, 같은 해 11월, 12월 삼성SDS와 삼성에버랜드(현 제일모직)가 잇따라 상장됐다. 업계는 이들 상장으로 이재용 부회장을 비롯한 이부진, 이서현 3남매가 최소 2조원대의 지분가치를 얻게 됐다고 분석한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이 같은 사업구조 개편은 2013년 9월 삼성에버랜드의 제일모직 패션사업부문 인수를 시작으로 2~3년 전부터 꾸준히 진행돼 왔으나 이 회장이 쓰러지면서 급물살을 탄 모양새”라면서 “상장을 통해 3남매가 상속세나 다른 계열사의 지분 확대를 위한 실탄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5-0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