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루엔자’에 병드는 아이들] “초등생 경제교육 60~70년대식 용돈관리뿐”

[‘애플루엔자’에 병드는 아이들] “초등생 경제교육 60~70년대식 용돈관리뿐”

입력 2012-06-02 00:00
수정 2012-06-02 0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론 중심 벗어나 ‘잘쓰는 법’ 가르쳐야

“2012년을 사는 아이들에게 한다는 경제교육이 1960~70년대식 용돈 관리뿐이다.” 소비자아동학을 전공한 어느 대학 교수의 말이다. 초등학교 경제교육이 저축에만 치중해 있으며, 지나치게 이론적이라는 의미다. 지난해 12월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간한 ‘금융소비자 역량 강화를 위한 장기비전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과정이 “주로 용돈 관리나 가계부 작성에 치중해 재무설계, 소득, 소비, 투자, 신용 등 현실 경제를 반영하기에 미흡하다.”면서 “금융교육이 경제교육과 소비자교육, 도덕교육 사이에서 정체성 혼란에 빠져 현실적인 교육 수요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잘 모으는 법’만큼 중요한 ‘잘 쓰는 법’을 가르치는 데 소홀하다는 것이다.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경제교육 시간이 부족하다는 점도 문제다. 현행 교과과정에서 경제교육은 사회, 도덕, 실과 과목으로 나뉘어져 있고 그나마 절대적인 수업량도 부족하다. 2009년 개정된 교과과정에 따르면 초등학교 1·2학년생의 연간 국어 수업은 224시간, 수학은 128시간이다. 이에 비해 경제교육이 포함된 바른생활과 슬기로운생활 수업은 각각 64시간과 96시간에 불과하다. 그나마 경제를 다루는 내용은 극히 일부다. 이승신 건국대 소비자정보학과 교수는 “초등학생 때부터 입시교육에 밀려 소비자교육은 부실한 실정”이라면서 “무엇보다 중요한 건 가르칠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기업이나 은행, 보험회사 등도 민간 경제교실을 열고 있지만 아이들에게 올바른 경제관을 심어 주기에는 역부족이다. 배순영 소비자원 정책팀장은 “수많은 캠프가 생기면서 홍보성, 상업성에만 치우친 경제교실만 늘었다.”면서 “제대로 검증조차 되지 않은 프로그램을 베껴서 쓰는 곳도 많다.”고 지적했다. 김정훈 원광대 생활과학부 교수도 “기업의 경제캠프는 기본적인 가치관 교육보다 자산 형성 등 특정 부분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소비교육이 이론중심에서 벗어나 ‘체험형’으로 가야 한다고 지적한다. 바자회나 벼룩시장에서 직접 돈을 주고받는 교육 등을 통해 소비에 대한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다는 뜻이다. 지난달 19일 아름다운가게가 주관한 벼룩시장에 7살 딸을 데리고 참여한 조병주(36·여)씨는 “아이가 물건을 사고파는 과정을 무척 신기하게 여기더라.”면서 “1000원, 2000원씩 주고받으면서 자연스레 가치 있는 소비를 고민하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체험형 경제교육은 돈에 대한 가치관 교육과 병행해 꾸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2012-06-02 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