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쿨닥터’ 김은지 정신과 의사
영아기 혼란 인정 후 대책 세워야
심리센터 연계해서 3~4년 상담을
김은지 마음토닥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김은지 마음토닥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은 22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보육원에 맡겨진 보호대상 아동 지원과 관련해 “그 아이들만을 위한 지속적이고 특화된 시스템을 국가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김 원장은 세월호 참사를 겪은 경기 안산 단원고의 ‘스쿨 닥터’였다. 김 원장은 “보육원 선생님들은 3교대인데 처우는 형편없고, 아이들은 잘 키워야 하는데 문제 행동을 일으키고, 그 안에서 상처를 주고받으며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을 종종 목격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모가 아이를 버리지 않아도 되는 환경을 만드는 게 가장 좋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미 시설에 맡겨진 아이들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과 연구에 투자해야 한다”며 “종사자들이 그 아이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잘 지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김 원장은 ‘치료’보다는 ‘이해’에 방점을 뒀다. 그는 “아이들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이해도 없이 ‘일단 증상이 있으니 해결해야 한다’는 병리적인 방식으로 접근해선 안 된다”며 “영아기의 혼란 등 그 아이들이 갖고 있는 기본적인 한계를 인정하고, 국가가 이를 어떻게 보완할지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시설아동 지원을 위한 과제로 ‘지속성’을 꼽았다. 그는 “정부부처는 보호아동의 평생 건강에 관심을 갖는 대신 ‘바우처로 1년간 20번 치료받게 하겠다’, ‘200만원을 지원하겠다’는 식의 태도만 보인다”고 꼬집었다. 이어 “보육원 선생님과 약을 처방하는 의사, 그리고 심리치료사가 한 아이를 최소 3~4년 지켜봐야 한다”며 “보육원 주변의 아동심리센터와 연계해 지속적으로 상담받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성폭력 아동 피해자를 위해 ‘해바라기센터’를 만든 것처럼 보호아동을 위한 특화된 시스템을 정부 차원에서 만드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22-03-2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