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일순 평전』 한상봉 지음/ 삼인
‘무위당 장일순 선생(1928~1994)’ 서거 30주년, 그런 위인(偉人)이 있었음을 아는 독자마저 드물 것이다. ‘‘녹색평론’ 발행인 김종철이 딱 한 번 보고 홀딱 반했다는,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유홍준 박사가 어디를 가던 함께 가고 싶다 했던, ‘아침이슬’의 뒷것 김민기가 아버지로 여기고, 판화가 이철수가 진정한 뜻에서 이 시대 단 한 분의 선생님이라 꼽았던 사람’이란 게 출판사의 첫 광고문이다. 이 정도만으로도 ‘장일순 평전’을 읽을 이유는 충분하지 않은가?
선생은 일제 강점기 원주에서 태어나 할아버지에게 한학을, 우국지사 박기정에게 서화를 배웠다. 서울대 미학과에 입학했으나 6.25 전쟁으로 학업을 중단한 뒤 줄곧 고향 원주에서 살았다. 원주가 한때 민주화 운동, 한살림 운동, 생명사상 운동의 아지트이자 성지였던 배경에 무위당 선생이 있었다. 동시대 원주에는 ‘토지’의 박경리 작가, 작가의 사위이자 ‘타는 목마름으로’ 시인 김지하도 함께 있었다. 멀리 김수환 추기경이, 가까이 지학순 주교도 있었다.
몰인간, 몰염치 사회는 유세가들이 지식만 쌓았지 경륜과 지혜를 쌓지 않은 탓이다. 칸트는 독일 변두리 쾨니히스베르크(칼라닌그라드)에서 평생을 살았지만 세계와 우주를 관통했다. 기대승은 전라도 광산 변두리 동네에서 사단칠정(四端七情)을 꿰뚫었다. 독일 철학자 헤겔이 ‘미네르바(지혜)의 부엉이는 황혼이 지면 날아오른다. (The Owl of Minerva spreads its wings only with the falling of the dusk)’고 했다. 인생의 반환점을 돌아 내리막 황혼에 접어든 오십 세라면 앉아 삼천리 서서 구만리를 내다보는 지혜를 탐할 나이다. 책, 책, 책을 읽자. ‘장일순 평전’을 읽자.
최보기 북칼럼니스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